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작업치료 키워드 분석

이용수 2

영문명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Related Keywords Using Text Mining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조은주 감경윤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8권 제3호, 39~5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인터넷 주요 웹사이트의 작업치료에 대한 주요 키워드들의 관계파악을 통해 현재 국내 작업치료의 대중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다음, Google에서 제공하는 뉴스, 블로그, 카페, 지식인/다음팁에 산재 되어 있는 ‘작업치료’관련 텍스트들을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기간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5년간으로 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넷마이너(NetMiner) 프로그램의 의 미연결망(semantic network)분석을 사용하여 다빈도 상위 50개의 키워드에 대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 심성, 동시출현 키워드분석,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형태소는 명사로 한정하였다. 결과 : 키워드 빈도에서는 작업치료(14,624건), 치료(13,530건), 작업(7,470건), 병원(4,618), 작업치료 사(3,612건), 재활(3,193건), 재활치료(2,851건), 장애(2,512건), 프로그램(2,329건) 등의 순으로 나타 났다. 연결중심성 및 매개중심성에서는 작업치료, 치료, 작업, 작업치료, 재활, 프로그램, 병원, 센터, 장애 등이 상위 10위안에 포함되었다. 동시출현 키워드 분석에서는 작업치료-물리치료 짝이 997건으로 가장 많았고, 요양-병원(783건), 작업치료-언어치료(564건), 작업치료-프로그램(510건) 등이 그 뒤를 이었 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는 ‘작업치료’, ‘재활’, ‘치료’ 등을 중심으로 키워드들이 응집되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는 ‘병원’에서 ‘장애’를 입은 사람들에게 ‘재활’을 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치매에 대한 작업치료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재활영역과 밀접한 연관 성을 가지고 인식되고 있다는 것은 작업치료가 유관 재활영역과 유기적 관계 속에서 고유의 위상을 정 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on popular web sites of major portal sit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 tried to describe the state and general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news, blogs, cafes, and Jishik-in/Daum tips provided by Naver, Daum, and Google were selected as channels for analysis. The keyword to be extracted from texts in these channels was “occupational therapy.” The semantic network including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ommunity, and co-current words we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program (ver. 4). Only nouns were subjected to the analyses. Results: “Occupational therapy” (14,624), “therapy” (13,530), “occupation” (7,470), “hospital” (4,618), “occupational therapist” (3,612), and “rehabilitation” (3,193) were the top-5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There were similar results in the degree centrality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Occupational therapy/physical therapy (997), convalescence/hospital (783), occupational therapy/speech therapy (564), and occupational therapy/program (510) were shown in most of the frequent co-current keywords. Seven groups were clustered in the community analysi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recognized as a “rehabilitation” for “disabled people” in “hospitals” in Korea, an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for “dementia” is expected. The recognitio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other rehabilitation areas suggests that occupational therapy needs to establish its status in the rehabilitation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주,감경윤. (2020).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작업치료 키워드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 (3), 39-51

MLA

조은주,감경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작업치료 키워드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3(2020): 3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