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모방능력 향상을 위한 근거기반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22
- 영문명
-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Improving Imi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미지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5권 제1호, 105~1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아동의 모방기술 획득을 위한 중재방 법을 소개하고, 이차적 효과 분석을 통해 모방을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으로서 작업치료사의 중요성과 작업치료 분야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해외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roQuest, PubMed, MEDLINE과 Scopus 그리고 국내의 RISS, KISS, 국립중앙도서관을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ASD AND Gesture imitation AND (Intervention OR Training)”를 사용하였다. 3차 분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13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발달장애 특성상 단일대상설계를 이용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의 종류로는 상호모방훈련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광범위한 연령대에 중재가 적용되고 있었고, 이를 통한 모방기술의 향상이 아동 의 언어, 사회성기술, 문제행동, 놀이기술, 운동기술, 일상생활수행기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 본 고찰을 통하여 ASD아동의 모방기술은 새로운 것을 학습할 때 선행요소이자 다른 발달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재활 전문가로서 작업치 료사가 직접 ASD아동에게 모방기술을 위한 중재전략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imit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n ASD,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an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Methods : For the main keywords of a database search, “ASD AND Gesture imitation AND (Intervention OR Training)” were used. Using ProQuest, PubMed, MEDLINE, and Scopus, we systematically review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6 to 2016. A total of 13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reveal that many studies followed a single subject study design. The most commonly applied intervention was reciprocal imitation training. In addition, intervention was mostly provided for a wide range of ages. Improvement of one’s imitation skills affected the language, social skills, behavioral problems, motor skills, and ADL skills of children. The study field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was shown to be psychology.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determine and understand that the imit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n ASD are a prerequisite for learning, and affect other developmental area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research on intervention for improving children’s imitation skills may be developed further by occupational therapis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모방능력 향상을 위한 근거기반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를 통한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개발
-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 개발
- 과제 지향적 로봇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 뇌졸중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원 직무복귀에 미치는 효과 :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중심으로
- 한국 작업치료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 대처전략
- 집단 복합 중재가 초기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수부 화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