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코사스) 표준화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mputer-Based on the 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근 조영남 김동희 백수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3호, 87~10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위한 전산화 인지평가도구인 코사스의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조사연구에 사용된 전산화 인지평가도구는 코사스로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시지각, 언어능력, 순서화와 계산능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로 구성되어있으며 프로세스와 데이터결과는 전산화되어 일관성 있고 자동으로 처리된 다. 연구대상은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는 60대부터 80대까지 대구시에 거주하는 정상노 인 302명이 참여하였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와 노인 용 인지검사(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는 뇌 졸중 환자 52명이 참여하였다. 결과 : 정확도 평균점수는 총 64점 중에 45.03점이고 표준편차는 5.58이다. 평균반응시간은 15.14초이고 표준편차는 3.69이다. 문항 간 내적 일치도 계수는 Chronbach’s α=.66이고, 두 검사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MMSE-K와의 상관관계는 r=.73이고, CSOA와의 상관관계는 r=.76이다(p<.01). 코사스 검사 세부 영역과 MMSEK와의 상관관계 역시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CSOA와 코사스의 공통 세부영역 간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인 코사스의 표준자료와 해석기준이 마련되었다. 코사스는 노인의 인지장애를 평가 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평가도구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evaluation system (called COSAS)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level of the Korean elderly and to provide its normative data. Methods : For this purpose, 302 normal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a investigation to provide the normative data of COSAS. 52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n evaluation experim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302 normal elderl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COSAS. The 52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COSAS and two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MMSE-K, CSOA). COSAS consists of the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visual perception, language ability, calculation ability and sequencing evaluation domains. Because the proposed system is an evaluation tool based on a computer system, all results and operations are processed consistently and automatically.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ccuracy was 45.03,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5.58. The average response speed time was 15.14 (sec),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3.69 (sec). Chronbach’s αscore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was .6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between two investigators. COSAS was highly correlated with MMSE-K (r=.73) and with CSOA (r=.76). The specific domains of COSAS were correlated with MMSE-K and the common domains of CSOA. Conclusion : Normative data of COSAS for the Korean elderly were obtained, and the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were provided. A reliable and valid clinically applicable computerized cognitive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별 작업치료관련 제도 분석
- 영유아 뇌성마비의 일상생활 평가에 있어서 K-MBI와 한글 PEDI의 적합성 비교
- 휠체어 자세 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앉은 자세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코사스) 표준화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집단작업치료가 지역사회 거주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치매작업치료사의 직무역량을 위한 연구 : 치매지원센터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중심으로
-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비교
- 고령자와 치매 환자의 인지 수준에 따른 작업 수행 및 여가 활동 참여 정도에 관한 연구
- 동영상을 이용한 자기관찰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중재가 경증치매환자의 기억력 및 집중력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