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비교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백현희 김정자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3호, 75~8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율과 신체활동 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03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활동으로는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조사하였고, 삶의 질은 EQ-5D (Euroqol-5 dimension)를 사용하여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 석하였다. 결과 : 신체활동 실천율은 도시의 경우 연령, 성별, 배우자, 주택유형, 소득수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 주택유형과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서, 도시의 경우는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생활활동, 통증/불편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는 걷 기를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도시와 농촌 모두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낮은 편이었고, 특히 도시보다 농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만성질환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높이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racticing physical activity rate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over 65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either rural or urban areas. Methods : Phys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walking, flexibility exercises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EQ-5D (Euroqol-5 dimension). Results : The practicing physical activity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age, sex, marital status, housing type, income level, and educational level for those in urban areas, and based on housing type and educational level for those in rural areas. For quality of life, the urban area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for exercise ability, self-care, daily activities, and pain/inconvenience of walking, flexibility exercises,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whereas the rural are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xercise walking ability. Conclusion : The practicing physical activity rates were at a low level for those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for those in rural areas were lower than for those in urban areas. A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need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별 작업치료관련 제도 분석
- 영유아 뇌성마비의 일상생활 평가에 있어서 K-MBI와 한글 PEDI의 적합성 비교
- 휠체어 자세 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앉은 자세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코사스) 표준화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집단작업치료가 지역사회 거주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치매작업치료사의 직무역량을 위한 연구 : 치매지원센터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중심으로
-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비교
- 고령자와 치매 환자의 인지 수준에 따른 작업 수행 및 여가 활동 참여 정도에 관한 연구
- 동영상을 이용한 자기관찰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중재가 경증치매환자의 기억력 및 집중력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