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linical Factors Related to Upper Extremity Shortness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이용수 5

영문명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의 상지길이 단축과 이와 연관된 임상적 요소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차영선 신용범 고현윤 신용일 이창형 장재혁 신명준 문정인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1권 제2호, 25~3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들의 편마비측 상지길이 단축의 정도를 평가하고, 길이 단축과 근경직도 및 운동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0명의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남아 13명, 여아 17명, 평균연령 6세 4개월)와 17 명의 대조군(남아 9명, 여아 8명, 평균연령 6세 2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지의 상완골, 척골, 요골, 두 번째와 다섯 번째 중수골의 길이를 단순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길이 측정을 하였고, 건측(대조군에서는 우성측) 대비 편마비측(대조군에서는 비우성측)의 단축의 정도는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근경직도는 Modified Ashworth Scale (MAS)를 이용하였고, 상지의 운동기능은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QU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군에서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백분율이 의미있게 단축되어 있었다 (p<.05). 이러한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와 근경직도의 증가 및 운동기능의 저하는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p<.05). 결론 :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에서 보이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단축은 근경직 및 운동기능과 의미있게 연관되어 있다. 추후 이러한 환아들에게서 근경직도의 완화 및 운동기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재활치료 후 변화되는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를 연구한다면 재활치료의 효과를 좀더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치료의 방법과 정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upper extremity shortness in people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HCP) compared with a normal control group, and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extremity shortness, muscle tone, and functional activity.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0 children with HCP (13 males, 17 females; mean age, 6.33 yr) and 17 normal children as a control (9 males, 8 females; mean age, 6.17 yr). The length of each limb segment composed of the humerus, ulna, radius, and the second and fifth metacarpal bones was measured for both the patients and and control group using a radiograph. The discrepancy in side-to side length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The Modified Ashworth Scale (MAS)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spasticity, and the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QUEST)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Results : Upper extremity shortnes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patients and control group (p<.05). The percentage differences in bone length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MAS point, and negatively with QUEST score in each limb segment (p<.05). Conclusion : The hemiplegic upper limb length discrepancy correlated with the functional activity and spasticity of the upper limb.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change in upper extremity shortness after functional improvement and spasticity management will help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habilitative treatment and determine the method and intensity of therapy requir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영선,신용범,고현윤,신용일,이창형,장재혁,신명준,문정인. (2013).Clinical Factors Related to Upper Extremity Shortness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 (2), 25-36

MLA

차영선,신용범,고현윤,신용일,이창형,장재혁,신명준,문정인. "Clinical Factors Related to Upper Extremity Shortness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2(2013): 2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