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편마비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간의 상관관계
이용수 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Herniplegic Patient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소영 이준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3권 제2호, 63~7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편마비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3년7월1일부터 8월30일까지 35명의 편마비 환자에게 MVPT, 버그균형검사, 한발서기 검사를 실시하고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균형유지능력과 시지각 능력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편마비 부위, 장애형태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령, 유병 기간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버그 균형검사와 MVPT간의 상관관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한발서기검사와 MVPT간의 상관관계는 눈을 뜨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선 경우와 눈을 감은 경우, 눈을 감고 마비된 쪽으로 선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 편마비 환자에게 있어 시지각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 간에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환자의 시 지각 능력을 평가하여 환자의 기능적인 예후를 예측하고 시지각능력 훈련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
Methods : From July to August in 2003, we have performed MVPT, Berg balance test, One-legged Standing test on 35 hemipleg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and who were under Occupational Therapy in 4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pears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 0.493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and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test, which indicates high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dynamic balance sustain ability. (p<0.01).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ne-leg standing test and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test, r=0.407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open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unparalyzed side of the body, r=0.345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close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unparalyzed side of the body, and r=0.332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close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paralyzed side of the bod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static balance sustain ability (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visual perception ability affects balance sustainability for hemiplegic patients. Therefore,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patients should be evaluated in the early stages, and functional prognosis of the patients should be predicted, and the patients should be subject to visual perception ability training programs, thereby leading to anticipation of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마비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간의 상관관계
- 작업모의 평가도구 : 발파작업표본평가 VCWS #2(크기구별)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 진동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반응 속도 및 지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을 통한 발달장애 영유아 재활상담의 분석 및 효용도 연구
- 뇌졸중 환자의 가정작업치료 요구도
- 신체장애인들의 보조기기 사용이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행에 대한 지식과 결과에 대한 지식이 정신지체 성인의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 다양한 양측 팔뻗기 작업수행시 팔뻗기 속도와 수직이동거리
- 효율적 작업수행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