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율적 작업수행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The Analysis Study of Life- Style for Efficient Occupational Perf onnanc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근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3권 제2호, 51~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작업영역과 그에 대한 시간 사용 특성을 조사하여 라이프 스타일을 비교하고 궁극적으로 작업치료사로서 라이프스타일을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평일하루와 토요일, 일요일 3일에 대한 시간 사용 사항을 30분 간격으로 설정된 타임테이블 사용하여 작업 영역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간사용에 대한 만족도, 중요도 그리고 자기 존중감 및 작업 수행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일상생활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았고 반면에 만족도는 낮았다. 그리고 장애가 심할수록 시간에 대한 작업 영역 간의 불균형이 심하였다.
결론 : 시간 사용의 향상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이끌 뿐만 아니라 삶을 균형 있게 만들고 자기 존중감을 높인다.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다시 재건하는 것은 환자의 삶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치료사의 중요한 임무이다. 또한 환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영역에 대한 배치를 우선으로 하고 환자의 만족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life-style on occupational therapy and to provide therapist with important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managing client's life-style.
Methods : A researcher analyzed time use with 'Time-table' which divided thirties minutes for each occupational areas. A research person investigated the scale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ime use of each occupational areas, self-esteem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Correlations about one another.
Results : The result of study explained that the more severity of disability, the more time ADL was needed. The balance among occupational areas was destroyed as disability was much.
Conclusion : The improvement of time use leads healthy life-style. This result in the balance of life and increase self-esteem. The analysis and re-built is the important mis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who manage client's whole life.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VI.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마비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간의 상관관계
- 작업모의 평가도구 : 발파작업표본평가 VCWS #2(크기구별)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 진동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반응 속도 및 지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을 통한 발달장애 영유아 재활상담의 분석 및 효용도 연구
- 뇌졸중 환자의 가정작업치료 요구도
- 신체장애인들의 보조기기 사용이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행에 대한 지식과 결과에 대한 지식이 정신지체 성인의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
- 다양한 양측 팔뻗기 작업수행시 팔뻗기 속도와 수직이동거리
- 효율적 작업수행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