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Theoretical Study on Body feeling of the yum-ji-guan (念止觀, sati, samatha, vipassna) meditation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동한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7권, 267~30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5.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상은 마음현상을 내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점으로 인해 명상은 심리 치료에 적용되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명상은 마음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명상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는 무척 어려운 일이다. 아직 감정, 생각, 갈망 상상, 기억 등의 메커니즘을 현대 과학은 완전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마음현상에 대한 뇌의 활동이 점점 밝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명상의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영역도 넓어졌다. 마음은 뇌의 작용이라는 환원적인 관점이 아니라 몸-뇌-마음의 상호작용의 관점을 전제로 한다면, 명상의 효과를 발전시키고 알리기 위해 명상을 신경과학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은 가치가 있다. 염지관(念止關, sati, samatha, vipassna) 명상은 몸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먼저 관찰하고 그런 다음 느낌과 마음현상과의 관계를 통찰하는 명상수행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지관 명상에서 마음을 다루기 위해 ``몸느낌`` 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느낌은 접촉을 조건으로 발생된다. 접촉은 몸의 감각기관에서 일어난다. 외부에서 기원하는 사태를 지각하고, 표상하는 기제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다. 이를 외수용감각기관(exteroception)이라 한다. 외수용감각기관의 주된 목표는 몸, 주번 세계, 몸이 세계와 맺는 관계를 ``지도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지도가 있는 뇌의 영역은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와는 완전히 다른 몸감각으로, 몸의 내부의 감각을 다루는 내수용감각기관(interoception)이 있다. 내수용감각기관은 통증과 내부 장기상태를 인식한다. 내수용감각기관의 목표는 생체항상성(homeostatic function) 즉, 내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내수용감각은 생각, 기대, 감정 등의 마음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환상지(limb syndrome)나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등이 그러한 예이다. 외수용감각을 다루는 신체지도는 잘 밝혀져 있는 반면 아직 내수용감각에 대해 신경과학적으로 완전히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뇌의 섬엽(insula)이 내수용감각을 다루는 곳이라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섬엽은 외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와 내수용감각기관에서 오는 정보를 통합해서 자기인식을 하고 인체의 내부 균형을 도모한다. 더 나아가 섬엽의 오른쪽 앞부분인 우반구 전두섬엽(anterior region of the insula)으로 통합된 신호들이 이동을 하면서 느낌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이러한 이동과정 중 몸느낌이 즐거움과 불쾌감으로 그리고 더 복잡한 감정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몸느낌을 바탕으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신경과학적으로 밝힌 것이다. 그리고 감정과 생각, 의사결정, 기대 등의 마음현상을 다루는 편도체(amygdale)와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과 같은 뇌의 다른 중요한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감정, 생각, 갈망과 같은 마음현상이 몸느낌을 조건으로 발생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심리적 고통은 신체의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통합한 몸느낌을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았을 때 증폭된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몸느낌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을 때 마음현상을 다루는 뇌의 영역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 여기서 염지관 명상에서 몸느낌을 알아차리고 머물고 지켜보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신경과학은 몸과 마음이 끊임없이 소통을 한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다. 그 소통의 중심에는 몸느낌이 있다.

영문 초록

Meditation is for the internal observation of mental phenomena. Meditation gives u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insight. Because of these merits, meditation is used in psychotherapy and produces excellent result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e medit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that it deals with mental phenomena. Modem science has not revealed the mechanisms of emotion, thought, imagination and memory yet. Nevertheless, the activities of the brain for mental phenomena are becoming clearer thanks to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us, the scientifically explainable par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is growing wider. Assuming the view that mind is interaction between body, brain and mind rather than the reductive view that it is the work of the brain, it is worthy to make efforts to explain meditation from the viewpoint of neuroscience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the effects of meditation. The yum-ji-guan (念止觀, sati, samatha, vipassna) meditation is a methodology for observing primary feelings of the body and then discovering the relation between feelings and mental phenomena.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reason for regarding body feelings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from the aspect of neuroscience. Feeling is generated conditionally by contacts. Contacts occur in the sense organs of the body. The senses that perceive and represent events originating from the outside are sight,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These senses are called exteroception. The main purpose of exteroception is mapping the body,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The cerebral region where the body map is situated has been discovered. As a totally different sense, however, there is the interoception that deals with inner senses of the body. Interoception recognizes pains and organ states. The goal of interoception is homeostatic function, namely, the maintenance of inner balance. Interoception is closely related with mental phenomena of thought, expectation, emotion, and so on. For example, there are phantom limb syndrome, placebo effect, etc. While the body map related to exteroception has been defined clearly, interoception has not been explained fully from the neuroscience aspect yet. Some of recent studies have announced that it is the insula in the brain that deal with interoception. The insula integrates information from exteroception and interoception, and then attains self-cognition and promotes the inner balance of the body. In addition, it is said that feelings a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signals integrated into the right anterior region of the insula. Researchers assert that body feelings induced by the movement develop into pleasant, unpleasant and more complex emotions. What is important here is to reveal neurologically that a person feels emotion on the basis of body feelings and that these feelings are connected to other important parts of the brain like amygdale and orbitofrontal cortex dealing with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decision and expectation. The fact that body feelings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yum-ji-guan meditation agrees with the fact that mental phenomena such as emotion, thought and need are generated conditionally by body feelings. We can infer that psychological pain is amplified when body feeling integrating information arising inside and outside the body is not handled properly. When body feeling information is not provided sufficiently, psychological pain appears because there is no proper interaction with the brain parts that deal with mental phenomena. We can find here the meaning of the yum-ji-guan meditation that is aware of, stays in and watches body feeling. Neuroscience bas begun to learn that bod

목차

I. 머리말
Ⅱ. 접촉
Ⅲ. 느낌
IV. 염지관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한. (2012).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267-308

MLA

김동한.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12): 267-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