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급 다문화예비학교 사례 분석

이용수 20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multi-cultural preliminary middle school project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고운 박소영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0권 제3호, 119~14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예비학교의 운영 실제를 드러냄으로써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의 집행자와 수혜자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와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중도입국청소년의 증가에 따라 다문화예비학교의 수는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적으며, 특히 중학교급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예비학교를 직접 운영하는 서울의 공립중학교에서 1년 동안 교사와 학생을 참여관찰하고 심층 면담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예비학교 성과를 밝혔다. 연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는 본 정책이 중도입국학생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는 것과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예산지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증가하였다는 점도 중요한 성과로 인식된다. 학생의 경우 학생 집단의 동질감에서 오는 안정감과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 학습의 경험을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또한 일반반 입급을 통한 다양한 교과학습과 새로운 교우관계로 인한 한국 학교에의 빠른 적응 또한 성과로 언급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제는 자원의 부족, 과도한 업무량 등이 있으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제는 소규모 운영으로 인한 좁은 교우관계, 일반반 입급에 대한 불안감과 부적응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예비학교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다문화예비학교에 참여한 교사와 다문화 학생 중 일반반 입급에 성공한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의 인식과 다문화예비학교 초입에 있는 학생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확대에서 실제 운영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project. With rising number of incoming adolescent from abroad,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mplement policies for multi-cultural population that have focused o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project is to emphasize on including immigrants to the public schools not excluding them from general Korean adolescent. For the study, students i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and teachers involved in the school are interviewed, and more than one year of observation is added. As a result, regarding teachers, it is found that they perceive the policy effective, which is one of the accomplishments. The teachers believe that this policy improves student’s languages and cultural adaptiveness, which increases their responsibilities on the students. They also get advantages from financial supports from Ministry of Education, and communicate with local communities more often. Students also perceive that the policy is helpful especially in terms of friendship and various curriculum through inclusive class. They feel comfortable with homogeneous group before getting into the general class. However, it is challenging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with Korean languages and with limited cultural background. They feel overwhelmed with demanding tasks as they are involved into the multi-cultural students. As limitations, students indicate over-burdening class- and home-work, and concerns on “entrance to general class”. As an exploratory study o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it intends to inform actual management and practices on schools of policy makers and school managers. With increased population of immigrant adolescent, policy needs to be more refined reflecting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다문화예비학교 성과 분석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고운,박소영. (2017).중학교급 다문화예비학교 사례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0 (3), 119-148

MLA

이고운,박소영. "중학교급 다문화예비학교 사례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0.3(2017): 119-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