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자기돌봄을 위한 자가활동약(Personal Medicine) 사용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용수 77

영문명
The Adapting Experience of Personal Medicine as a Tool of Self-Car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Using Concept Mapping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저자명
정숙희 강현정 박다은 하명은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복지연구』제14권 제2호, 49~7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이 만든 자기돌봄(self-care)도구인 자가활동약(personal medicine)을 한국 정신장애인 당사자에게 처음으로 적용해 보고, 당사자의 자가활동약 사용 경험을 개념도 방법론(concept mapping method)으로 분석하여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B 클럽하우스 모델을 이용 중인 정신장애인 10명에게 고통스러운 목소리, 우울, 슬픔, 부정적 사고, 불안, 분노, 수면, 자해, 수면, 잘못된 신념 중 원하는 주제에 대해 자가활동약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86개의 핵심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최종 진술문을 연구참여자가 분류와 평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집단 유사성 행렬표(GSM)를 작성하였고, 다차원척도법(ALSCAL) 및 위계적 군집분석(Ward 방법)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그렸다. 연구결과, 자가활동약의 사용 경험은 ‘적용-효과’ 요인, ‘Here and Now-변화지향’ 요인의 2개 차원으로 구분되었고, “자가활동약의 이해”, “신체적, 정신적 증상 감소”, “나의 존재가치 확인”, “희망의 발견”, “자가활동약 내재화와 확장”의 5개 군집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 중 연구참여자들은 군집3인 “나의 존재가치 확인”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기돌봄도구로서의 자가활동약의 적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ery first application of Personal Medicine(PM), a self-care tool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Korea.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se individuals who have used PM through the concept mapping method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ir self-care. 10 sub-categories of PM was administered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are registered in B Clubhouse model: distressing voices, feeling depressed, grief, negative thinking, anxious feelings, anger, sleep, and troublesome beliefs. Based on the analysis, 86 key statements were derived and a concept map was created. The final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group similarity matrix methods using data coded by researchers, and drew a concept map using ALSCAL and Ward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PM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application-effectiveness’ factors and ‘here and now-change-oriented’ factors. These two dimensions now categorized into five clusters: “Understanding of PM”, “Relieved physical and mental symptoms”, “Affirmed the value of existence”, “Found hope”, and “Internalized and expanded PM”. The participants rated the importance of cluster 3, “Affirmed the value of existence” the highest.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application of PM as a self-care tool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목차

1. 서론 및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숙희,강현정,박다은,하명은. (2023).정신장애인의 자기돌봄을 위한 자가활동약(Personal Medicine) 사용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미래사회복지연구, 14 (2), 49-79

MLA

정숙희,강현정,박다은,하명은. "정신장애인의 자기돌봄을 위한 자가활동약(Personal Medicine) 사용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미래사회복지연구, 14.2(2023): 49-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