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 위험군 조기 선별을 위한 CBM 보편적 선별 방안 탐색: 베이지안 이론의 활용
이용수 117
- 영문명
- Exploring CBM Universal Screening for Early Identification of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 Application of Bayesia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여승수 이광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20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편적 선별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평가전략이다. 그동안 수행된 보편적 선별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주로 빈도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선별 준거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빈도주의 이론은 지난 50년간 지속해서 비판을 받아온 통계 이론이기에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선별 검사에서 선별 준거를 추정할 수 있는 빈도주의 통계의 대안으로 베이지안 이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베이지안 이론은 빈도주의 통계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 보편적 선별에 필요한 유용한 교육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Universal screening is a popular assessment strategy for early identification of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universal screening studies have used frequentist theory to determine screening criteria. However, frequentist theory is a statistical theory that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over the past 50 years, a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this study, we propose Bayesian theory as an alternative to frequentist methods for estimating screening power in universal scree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ayesian theor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iversal screen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suggest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베이지안 이론
Ⅲ. 연구 방법
Ⅳ. 빈도주의와 베이지안 활용 분석 결과 예시
Ⅴ. 보편적 선별 연구에서 베이지안 이론 활용의 장점들
Ⅵ. 베이지안 이론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주제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