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단분류모형을 활용한 PISA 2018 학업 성취 수준별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중학생의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78

영문명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Achievement Goal and Motivational Disposition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ing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Evidence From PISA 2018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황지영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20권 제2호, 75~9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분류모형(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을 활용하여 PISA 2018에 보고된 한국 중학생(n = 6,510)과 미국 중학생(n = 4,639)의 학업 성취 수준별(일반 성취 집단, 학습장애 위험 집단) 학업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목표 유형을 측정하는 변인으로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및 수행회피목표 유형이 포함되었으며, 기질을 측정하는 변인으로는 경쟁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 및 회복 탄력성이 포함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이론을 반영하여 제시한 G-DINA 모형은 타당한가? 둘째, 한국과 미국 각 국가별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별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의 숙달패턴 및 비율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학생의 학업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 Q 행렬은 미국과 한국의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집단 모두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SRMSR < .005). 둘째, 미국의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집단의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 패턴의 차이는 한국의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집단 간의 차이보다 비교적 뚜렷하였으나, 한국 중학생의 경우 해당 패턴의 차이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학습장애 위험 집단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한국의 학습장애 위험 집단만의 독특한 숙달패턴인 ‘숙달목표 및 경쟁심’, ‘숙달목표 및 수행접근목표 추구 및 경쟁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한국의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집단에서는 특정 성취목표유형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기질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경쟁심과 회복탄력성은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혹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학생들에게서만 일정하게 나타나는 기질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응적 방식의 성취 목표 유형을 파악하고 이들의 동기 향상 및 지원을 위해 학생, 학교 및 국가 수준에서 기울여야 할 교육적 노력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outh Korea and the U.S. by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e.,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reported in PIsA 2018 using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Specifically, mastery goals, performance 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included as variables that measure the types of academic achievement goal, and competitiveness, fear of failure, and resilience were included as variables that measure academic motivational disposi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guided this study. First, is the G-DINA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reflecting the achievement goal theory valid? Second,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astery patterns and ratio of achievement goal type and motivational disposition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Q matrix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valid in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groups in South Korea and the U.S.(SRMSR < .00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and motivational disposition patter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in the U.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unique mastery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group of Korean students with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which were not identified in the group of students with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in the U.S.: ‘mastery goal with competitiveness’,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with competitiveness’. Lastly, there was a motivational disposition that appeared in combination with a certain achievement goal type in both group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risk for learning disability in South Korea and the U.S. That is, competitiveness and resilience were the motivational disposition that appeared consistently only in students who pursed mastery goals, performance approach goals, or both goals. Conclusively,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fforts and policy that need to be made at the student, school, and national level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atterns of achievement goals and motivational dis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영. (2023).진단분류모형을 활용한 PISA 2018 학업 성취 수준별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중학생의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0 (2), 75-99

MLA

황지영. "진단분류모형을 활용한 PISA 2018 학업 성취 수준별 일반 및 학습장애 위험 중학생의 성취목표 유형 및 기질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0.2(2023): 75-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