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직업선택에 관한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Choice for Graduat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희성 박태양 유호준 Jiang Wei 이길재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2권 제1호, 2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취업의 불일치 현상이 심화되고, 특히 중등교원양성기관 졸업자가 과잉 공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등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취업 현황과 이들에 대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양성기관의 졸업자의 전공-직업 일치여부를 1) 중등교원 및 교육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와 2) 교육ㆍ연구직까지 확장한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중등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약 26%는 전공-취업에 일치한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공-직업이 불일치한 경우 취업하지 못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공-취업의 일치여부는 소득과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교육ㆍ연구직으로 확인했을 때 소득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공-직업의 일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을 위하여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 수준의 특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학 수준의 특성에서 국공립 대학이 사립대학에 비해 전공-직업이 일치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졸업자의 전공계열, 복수전공 여부, 대학원 진학 여부, 전공 만족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중등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전공-진로의 일치를 위한 대학 교육에서의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ir impact on them, especially at a time when the phenomenon of major-employment mismatch is deepening and there is a glut of graduates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To this end, it was analyzed separately whether graduates of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were matched in their majors-to-job positions, as if they were engaged in jobs that expanded to 1)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2) educational and academic research positions. About 26 percent of graduates from secondary school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engaged in jobs that matched their major-job status, with a high percentage of those who failed to get a job if their major-job occupation was inconsist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armonization of major-employment had an impact 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but the difference in income was not significant when identified by the Education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 Finally, the Logistic Review analys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tch between majors and profession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vel did no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vel, that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were more likely to match majors compared to private universities, and that the degree of majors, multidisciplinary majors, graduate school status, and degree satisfaction of majors were affect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in college education for the future major- career matching of graduates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