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 추진방안 분석 및 개선방안
이용수 1
- 영문명
- On the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손유식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4권, 347~3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ven though we know that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bout percent of the investment to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at is the lowest rate among OECD members, reveals the worst education condition. However, nowadays the debates about public early-childhood education at both the Congres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might make us lead a new way for the foundation of public education, I think. In this respect, this paper tries to make a few suggestions for better public early-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irst, one method by government policy, which the public early-childhood education has to establish a joint education with elementary school in the 7 big cities, may get negative effects on the independence of early-childhood education or make it an earlier stag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long term respect, it is necessary to have own independent kindergartens or independent kindergartens of the elementary schools even they are jointed with them. Besides, it is a good way to give financial support to the private kindergartens so that they can d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ike public education system. Second, it is desirable not only to have smaller class size than now but also to use volunteers or parents as aided teachers because there are not clear-cut distinction between regular teachers and aided teachers in terms of qualification and there might be certain conflicts between them. The conflicts may give negative effects on the education as well. Third, as for the certificate of teachers, the different qualification between junior college graduates and 4 year college graduates can`t agree to the policy about encouragement of junior college by Ministry of Education. About 80%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childhood education from 82 junior colleges 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from 82 junior colleges, all of them don`t feel proud of their position and working value, so that the kindergarten students might have negatively emotional effec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should take test for the certificate of teachers under national control and give the graduates who pass the test. And they have a great opportunity to have higher re-education system and chance. Last, it is better to have one-way system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education than two-way systems. The two way systems may get deepened wide between them rather than they can develop the education better. However, as one way system might have demonstrations or protests from child-care center owners, it is necessary to take a lot of time to study one way policy at present.
목차
I. 서론
II. 공교육화 개념 및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 현황
III. 외국의 유아교육 공교육화 동향
IV.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 추진방향
V. 공교육화 추진 방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VI.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 토론 > 선진주요국의 학부모 학교선택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형태
- < 토론 > 학교선택권의 명암과 대안교육의 가능성
- 교육수요자 중심의 학교 재구조화 실시 방안
- <토론> 교육수요자 중심의 학교 재구조화 실시 방안
- 방송대학 교육투자 수익률 분석
-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개발에서 의사결정수준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 추진방안 분석 및 개선방안
- 초 중등 교원보수의 동태적 분석
- 단위학교 인사조직 혁신사례 탐색 -부산가야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학교 훈육문제에 대한 고찰
- 대도시 공동화 현상에 따른 도심학교 통 폐합의 비용 -수익 분석
- < 토론 > 학교재구조화 : 우리의 문제인식은 무엇일까 ?
- 교육수요자의 선택권과 학교체제 재구조화
- 학교선택권의 명암과 대안교육의 가능성
- 선진주요국의 학부모 학교선택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형태
-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에 대한 운영위원들의 인식 연구
- 교사지도성의 발달에 관한 논의
- 교육의 논리로 보는 교원정책
- 학교경영 지도성의 새로운 모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