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훈육문제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School Discipline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박병량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4권, 291~3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scipline problems have long been the pressing problems facing school. For effective discipline, it is prerequisite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reasons of discipline problem behavior - misbehavior. This paper discusses what behavior constitute discipline problem how it can be defined and perceived. The paper also discusses why students misbehavior how it can be explain and understood by examining theoretical models for behavior problems and their use. There are diverse definitions of discipline problem. Early definition focuses on student behavior that interferes with teaching. This definition is simple and narrow.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 that detracts from the order and safety - physical and psychological - of learning environment. The most comprehensive definition embraces student behaviors that violate rules of conducts congruent with the norms in social and work setting. Developmental trends of definitions focus on instructional, learning environment, social and situational. Concern is gradually being shown today to the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 - more social and situational in that a more set of discipline problems in actual fact is embraced. Our perceptions of discipline problem differ from the definitional one. In practice, how teacher perceives and interprets problem behavior are more important than what it is defined, si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behavior affects how teacher responds to it. Clearly a need exists for more research to be taken in order to clarify what teachers/students construe as discipline problems and to ascerta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perceptions. The paper examined five major theoretical models which are used to understand or explain problem behavior. The five models are the psychodynamic approach, behavioral modification, humanistic psychology, a system approach, and labelling theory. Each model takes a different standpoints. However, directional trends of the models have shown a movement from a narrow psychological perspective to a broader, contextual, sociological approach. The trends from an individua/psychological perspective to a social/sociological one emphasize institutional influences upon pupils` behavior. This implies that school and teacher can do much to reduce discipline problems. Teachers as practitioners face the choice problem among the theoretical models, each of which takes a different perspectives. However, it might be said that all of the theories may be right in their own right. Therefore, the choice problem can be resolved by practicing a eclectic approach rather than on a single theory. The eclectic approach includes : the use of some formulation which incorporate two or more of the models together within a overarching framework and the use of different members of the team electing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particular models.
목차
I. 서론
II. 훈육문제의 정의와 인식
III. 훈육문제의 이론적 모형과 활용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 토론 > 선진주요국의 학부모 학교선택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형태
- < 토론 > 학교선택권의 명암과 대안교육의 가능성
- 교육수요자 중심의 학교 재구조화 실시 방안
- <토론> 교육수요자 중심의 학교 재구조화 실시 방안
- 방송대학 교육투자 수익률 분석
-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개발에서 의사결정수준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유아교육 공교육화 추진방안 분석 및 개선방안
- 초 중등 교원보수의 동태적 분석
- 단위학교 인사조직 혁신사례 탐색 -부산가야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학교 훈육문제에 대한 고찰
- 대도시 공동화 현상에 따른 도심학교 통 폐합의 비용 -수익 분석
- < 토론 > 학교재구조화 : 우리의 문제인식은 무엇일까 ?
- 교육수요자의 선택권과 학교체제 재구조화
- 학교선택권의 명암과 대안교육의 가능성
- 선진주요국의 학부모 학교선택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형태
-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성과에 대한 운영위원들의 인식 연구
- 교사지도성의 발달에 관한 논의
- 교육의 논리로 보는 교원정책
- 학교경영 지도성의 새로운 모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