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유라시아 안장의 변화와 획기 - 軟式鞍에서 硬式鞍으로 -

이용수 156

영문명
The Graded Change and Its Turning Point of the Saddle of Ancient Eurasia - From A Soft Saddle to A Hard Saddle -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현우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101집, 7~3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에 말은 거마와 기마에 모두 이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전차를 끄는 말에게 씌웠던 덮개는 기병의 말 등을 덮는 언치로 변용되어 오랜 기간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유행하였다. B.C. 6~3세기대에 알타이지역에서 구조적으로 정형화되고, 언치, 안장덮개와 조합된다. 연식안은 초기에는 장식성이 극대화되고 의장적, 위세적 성격을 가졌으며, 정형화된 구조와 기능상의 이점으로 인해 바로 실용화되어 확산된다. B.C. 5~3세기 스키토-시베리아문화의 동과 서는 모두 정형화된 연식안을 사용하였는데, 곧 남하하여 천산산맥의 동쪽은 물론 중국의 戰國 趙와 秦에도 유입된다. 중국 내지에서는 서한시대 대규모 기병의 양성과 말의 사육으로 인해 기마습속과 연식안이 확산되고, 연식안은 동한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동한에서는 연식안의 2매 쿠션을 횡가하는 호상의 봉이 등장하고, 북방의 흉노에서는 연식안 앞뒤에 일체형 선부판이 출현하며 곧 철제화된 선부금구도 등장한다.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쿠션의 목제화가 진행되었고 쿠션의 앞뒤 상연에 안교를 올려 결합하는 경식안이 출현하였다. 현 자료 상 3세기 중엽 중국 남방의 손오지역이 경식안의 출현지로 가장 유력하며, 단등과 조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손오 멸망 이후 서진에서 경식안이 정형화되고, 진제 무덤의 확산과 함께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기마가 가능한 계층 역시 확대되었다. 연식안에서 경식안에서 대체되었음에서 서쪽의 신장 일대에서는 연식안의 전통이 잔존하며 경식안의 일부 요소 즉 안교만 받아들여 쿠션과 결합한다. 4세기대 오호십육국시기가 되면서 경식안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었고, 쌍등과 중장기병의 시대가 도래하게 된다.

영문 초록

In ancient world, a horse was used to pull chariot and to ride. In Egypt and Mesopotamia, a horse which pull chariot was put on cover, and this cover changed to a saddlecloth in Mesopotamia area. In the B.C. the 6th to the 3rd century, a soft saddle was standardized, and was combined with a saddlecloth and a saddle cover. In the beginning, a soft saddle was decorated extravagantly, so it had got hierarchical character. However, as it also had got functional advantages, it was commercialized, and spread widely. B.C. the 5th to the 3rd century, Scythian only used a standardized soft saddle in the Scythian-Siberia culture. It spread to the eastern area of Mt. Tianshan, and came into Zhao and Qin Dynasty of China. By training cavalry and breeding horse on a large scale, the horse riding usage and a soft saddle spread widely, and it continued to use till Eastern Han Dynasty. In Eastern Han Dynasty, a bar which cross the two cushion appeared. In Xiongnu, a front and back board begun to attach on a cushion, and soon appeared iron board. Based on this change, a cushion changed to a wood, and a saddle bow combined above a wooden seat. This is the very a hard saddle. This saddle should be invented in the Southern area of China, especially, Sun-Wu area. It was also combined with a single stirrup. After collapse of Sun-Wu, a hard saddle of Western Jin Dynasty was standardized, and it spread to whole China with diffusion of the tomb of Jin system. Even though a soft saddle was replaced by a hard saddle, tradition of a soft saddle was still existent in Xinjiang area with wooden or bone saddle bow. Begin with the 4th century, there was a growing need for a hard saddle, and the period of double-stirrups and armoured trooper begun.

목차

Ⅰ. 머리말
Ⅱ. 연식안 출현 이전의 양상
Ⅲ. 정형화된 연식안의 출현과 확산
Ⅳ. 연식안에서 경식안으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우. (2023).고대 유라시아 안장의 변화와 획기 - 軟式鞍에서 硬式鞍으로 -. 고문화, (), 7-38

MLA

이현우. "고대 유라시아 안장의 변화와 획기 - 軟式鞍에서 硬式鞍으로 -." 고문화, (2023): 7-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