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남녀 화자별 구비설화 전승 양상의 차이 -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이용수 95

영문명
Differences in The Transmission of Oral Narratives by Male and Female Speakers through Text Mining - For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lementary Edition of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한유진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69집, 103~1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린 구비설화를 대상으로 화자의 젠더에 따른 전승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동시 발생 단어쌍에 의한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남녀 화자별로 전승 유형을 시각화하고 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화자는 ‘유래담’, 여성화자는 ‘가족담’을 중점적으로 전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유래담’과 ‘가족담’을 중심으로 남녀 화자본의 전승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때 ‘가족담’은 ‘며느리’, ‘사위’ 소재 설화의 경우 ‘새식구’ 유형, ‘아들’, ‘효자’, ‘딸’ 이야기는 ‘부모-자식’ 유형, ‘남편’ 설화는 ‘부부’ 유형으로 범주화하였다. 각 유형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남녀 화자의 전승 양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래담’의 경우 남성화자들은 ‘역사성이 결부된 전설’을 관심 있게 전승하지만 여성화자들은 ‘역사성이 탈각된 전설’을 흥미롭게 구연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가족담’에 해당하는 ‘새식구’ 유형에서 여성화자들은 ‘새롭게 편입된 집안에서의 위치가 반영된 며느리와 사위’ 이야기들을 관심 있게 전승하지만 남성화자들은 ‘남성의 욕망을 관철’시키고 ‘개인의 능력과 기지로 행운을 얻는 민담적 남성인물’의 이야기를 즐겨 구연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부모-자식’ 유형에서는 여성화자들의 경우 ‘부모 자식 상호 간에 지켜야 할 도리’를 중심으로 ‘가족 문제를 윤리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구연한다면 남성화자들은 ‘이념적 차원이 강조’된 유형들을 관심 있게 향유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남성화자들은 ‘딸’ 소재 설화에서도 ‘출가외인의 관념이 내재’한 유형인 <친정 명당 뺏은 딸>을 집중적으로 전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화자들은 ‘경제권에 대한 여성인물의 주체적 면모’가 드러나는 이야기들을 더 많이 구연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부’ 유형의 경우 여성화자들은 ‘현실적 차원에서의 부부 관계’를 서사화한 유형을 주로 구연하지만 남성화자들은 ‘열·효 이념을 강조’하기 위한 이야기들에 관심을 두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transmission patterns based on the gender of speakers using folklore narratives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and 『Complementary Edition of Comprehensive Korean Oral Literature』. To do this, visualized the transmission types for male and female speakers and compared them using the “Associative 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by co-occurring word pai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ale speakers focus on “the story of origin” and female speakers focus on “the story of family”. According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transmission pattern of stories narrat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focusing on “the story of origin” and “the story of famil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family stories,” the tales involving “daughter-in-law” and “son-in-law” were categorized as the “new family” type, stories about “son,” “good son,” and “daughter” were categorized as the “parent-child” type, and narratives about “husband” were classified under the “couple” type. The differences in the transmission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focusing on each of these typ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story of origin,” male speakers tend to pass on “the legend associated with historicality” with interest, but female speakers tend to express “the legend of which historicality has been removed.” On the other hand, in the “family story” type of “new family member”, the female narrators pass down the stories of “daughter-in-law and son-in-law reflecting their position in the married family” with interest, but the masculine narrators prefer “the story of a man fulfilling his desire” and He seemed to enjoy narrating the story of “a folktale male character who gets lucky with his individual ability and wit”. Next, in the “parent-child” type, female narrators interestingly tell stories about “approaching family issues from an ethical level” centering on “duties to be observe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le male narrators are “emphasizing the ideological dimension” showed a tendency to enjoy them with interes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male narrators intensively handed down The daughter who stole the good grave of her parents, a type in which “the notion that a married daughter is not a family is inherent” in the “daughter” storytelling. He showed the appearance of narrating more stories that reveal his “subjective aspect”. Lastly, in the “couple” type,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narrators mainly narrate the type of narration of “marital relationship at a realistic level”, but male narrators are interested in stories to “emphasize the ideology of heat and filial piety”.

목차

1. 서론
2. 텍스트 데이터 분석 과정
3. 남성화자와 여성화자의 전승 유형 비교
3.1. 유래담
3.2. 가족담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 (2023).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남녀 화자별 구비설화 전승 양상의 차이 -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구비문학연구, (), 103-133

MLA

한유진.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남녀 화자별 구비설화 전승 양상의 차이 -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구비문학연구, (2023): 103-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