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3-4학년군 마을 학습을 중심으로 —

이용수 68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ce Learning Program Focused on Aesthetic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허양아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1권 제1호, 53~7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측면에 경도되었던 지리학습의 대안으로서 Dewey의 심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장소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는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장소학습은 감각 활용과 감정 표출의 매개 역할을 하는 ‘장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몸, 감정, 이성이 통합된 총체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안내하는 장소학습은 감각적이며 참여적인 경험이 부족하고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장소를 깊이 있고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는 학습자가 장소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장소의 개선을 위해 참여하고 행동하도록 이끄는 데도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기본으로 하되 기존의 장소 관련 단원 학습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장소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의 의의를 학생, 교사, 사회과 교육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의 감각적·정서적 장소 참여 방식은 학습자들의 질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마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확장시켰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야외학습 설계와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학습 모델이다. 셋째, 이 프로그램은 그동안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었던 사회과교육에 심미적 영역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심미적 교육의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lace learning program based on John Dewey’s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as a way to provide a holistic experience in which body, emotion, and reason are integrated in social studies. Since “Place” serve as a medium for us to use our senses and express emotions, place learning can be an opportunity to have a holistic experience in which the body, emotion, and reason are integrated.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place learning guided by textbooks tend to lack sensory and participatory experience and emphasize the cognitive aspect. This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place in depth and empathy. In addition, the lack of direct interaction with the place also has limitations in leading learners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place and to act and participate in their community. In this stud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based, and it was intended to prepare a place learning plan that coul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lace related unit. The draw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students, teacher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this program involves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of place promoted students' qualitative thought, and in the process, learners'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village expanded. Second, this program has become a place learning model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designing and applying geographical fieldwork in the school. Third, this program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fiel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has been emphasizing the cognitive aspect, and suggests an approach to aesthet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심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과 장소학습
Ⅲ. 장소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양아. (2023).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3-4학년군 마을 학습을 중심으로 —. 사회과수업연구, 11 (1), 53-71

MLA

허양아. "심미적 경험 중심 장소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3-4학년군 마을 학습을 중심으로 —." 사회과수업연구, 11.1(2023): 5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