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사회교과서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즈음하여

이용수 450

영문명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Research: On the Occasion of the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윤요순 홍미화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1권 제1호, 73~8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현장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AI 및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초등 사회과를 비롯한 각 교과에 어떠한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기존의 초등 사회교과서 및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에 대한 관념이나 당위성, 혹은 형식적 측면에 치우쳐 수행되어 왔기에 새로운 교과서에 실질적인 기준이나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활용 방식인 담론과 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초등 사회교과서는 모범(example) 또는 자료(text)로서 인식되거나 활용되는 지배담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모범(example) 담론은 객관적 지식을 중시하여 사회과 내용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의 수업을 양산하였다. 둘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자료(text) 담론은 교과서 활용에 대한 판단을 교사 개인이 일임함으로써 교과서와 관계없이 교사 역량에 따라 수업이 좌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첫째, AI디지털교과서의 개발은 지식 및 기능을 직접 수록하는 방식을 탈피해야 하고, 둘째, 학생의 경험과 맥락을 학습에 반영할 수 있는 초등 사회교과서의 상을 구상해야 하며, 셋째, AI 디지털교과서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을 극대화하는 초등 사회교과서를 구현해야 한다.

영문 초록

To introduce AI digital textbooks into the educational field, it is required to first explore which textbooks are desirable to develop for each subject, includ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applying AI and digital technology. However, studies on exist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ly on external aspects such as ideology, necessity, form, and system, and thus do not provide practical standards or implications for new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discourse, which is the existing method of recognizing and utili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xplores the problems in depth. As a result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recognize and utiliz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s an example or text, that is, a dominant discourse. First, the example discours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ass-produced classes in which social studies content knowledge was acquired with emphasis on objective knowledge. Second, the discourse on the tex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left the judgment on textbook utilization to individual teachers, resulting in classes being influenced by the teacher's capabilities regardless of the textbook. From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I digital textbook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can be obtained.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method of directly recording knowledge and skill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ceive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that can reflect students’ experiences and contexts in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maximize learning by utiliz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AI digital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의문
Ⅲ. 초등 사회교과서 연구의 지배담론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요순,홍미화. (2023).초등 사회교과서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즈음하여. 사회과수업연구, 11 (1), 73-89

MLA

윤요순,홍미화. "초등 사회교과서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즈음하여." 사회과수업연구, 11.1(2023): 7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