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리학적 역사학과 심성함양: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이용수 90
- 영문명
- Neo-Confucian Historiography and Cultivation of Mind: Dongsa-Gangmok(東史綱目) in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지정민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5권 제2호, 49~8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순암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성리학의 수용 이래로 조선시대 역사학이 이룬 성과를 집대성하여 우리나라 역사를 서술한 역작이다. 「동사강목」에 나타난 안론의 충효론과 <지리고>의 논증의 과정을 살펴보면, 이제 역사학은 도덕적 규범 위주의 전통 유학의 접근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덕적 해석을 시도하고 지리를 비롯하여 각종의 사회, 경제, 국방 등 여러 방면의 분야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은 근본적으로 주희의 「자치통감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역사학의 접근 방식을 계승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즉, 인물의 충절이나 강역 고증과 관련된 안정복의 역사 해석상의 특징은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논의에 비추어 가장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동사강목」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 역사학은 성리학의 테두리 내에서 격물치지의 중요한 통로를 담당하며, 철학과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한다. 선경후사와 경사일치는 성리학적 역사학에 의한 심성함양의 주된 원리이다. 선경후사는 역사 공부에 앞서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는 실제적 지침으로, 경사일치는 철학과 역사는 모두 天理를 추구한다는 이론적 정당화로 해석될 수 있다.
영문 초록
Jeong-bok An(安鼎福)'s Dongsa-Gangmok(東史綱目) in the 18th century is a masterpiece of historiography created by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Both at the Jeong-bok An's critical comments(按論) on loyalty and filial piety(忠孝), and Geographic Essay(地理考) in Dongsa-Gangmok, we can find the Neo-Confucian approach such as moral reflection-centered interpretations and various concerns about geography, economics, diplomacy, and etc. This change means that it inherits and develops in its own peculiar way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on history of which Chuhsi has set a great model, writing the ZachiTonggam-Gangmok(資治通鑑綱目). Jeong-bok An's historical interpretation presupposes the Neo-Confucian ethics of 'the standard and the expedient(經權)', and the idea of totality of history, so it can be properly understood only in the light of metaphysics. Sunkyung-husa(先經後史) and kyungsa-ilchi(經史一致) are two main principles of the cultivation of mind in learning Neo-Confucian history. It is in this boundary of Neo-Confucianism that history and philosophy maintains harmonious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목차
Ⅰ. 서론
Ⅱ. 「동사강목」의 유학적 배경: 전통 유학과 성리학의 영향
Ⅲ. 「동사강목」의 내용분석
Ⅳ. 결론: 「동사강목」의 심성함양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