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분석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ttainment Value on Achievement with focusing 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허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0권 제2호, 113~1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및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패널의 1차 및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중학생들의 성취가치는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업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중학생들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에서 다중 매개적 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크기는 자기 통제력이 자아존중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inment valu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rame work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rst and third longitudinal panel data set(1st wave: 2,351, 3rd wave: 2,259) from KCYPS(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beginning at 2010 of middle school grade 1st panel by the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a) Attainment valu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elf-control, self-esteem, and achievement.
(b) Bo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c)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were existed significantly between attainment value and achievement. The effect size of self-control was bigger than that of self-esteem significant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