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ㆍ중 유아 창의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암묵적 지식의 차이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Implicit Knowledge about Children Creativity among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짜오만통 정정희 윤미승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0권 제2호, 69~8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양국의 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성, 호기심, 독창성, 주도성, 다양성의 5가지의 창의적 특성을 발견하였다. 이들 중 사회성, 호기심 및 다양성은 양국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도성과 독창성에서 중국과 한국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국이 오랫동안 내려온 유교와 불교를 바탕으로 집단주의와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공통된 문화 속에서도 근현대의 서로 다른 정치적 체제와 사회적 환경의 차이는 양국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유아 창의성의 암묵적 지식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양국의 유아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서로 협력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the implicit knowledge on creativity infant teachers have targeting teachers of 147 both in Korea and China. Also, this has characteristics of exploratory research which is for looking into how different these two could be according to the nation. Below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ose issues.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the silent knowledge on infant creativity of Korean and Chines infant teachers can be integrated to 5 factors, and those factors are sociality, curiosity, originality, initiative, diversity.
Second, the results in sociality, curiosity and diversity of both Korea and China out of 5 factors(sociality, curiosity, originality, initiative, diversity) turned out to be similar.
Third, it turned out there's a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factors of originality and initiativ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