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장애인식교육을 위한 삽화 비교 분석
이용수 126
- 영문명
- Comparison and Analysis of Illustrati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유장군 최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4권 제1호, 89~1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및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장애 관련 삽화가 장애인식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모두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및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장애인 삽화의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및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삽화 중 지체장애의 삽화가 비중 있게 수록되어 있으나, 다른 장애영역은 현저히 낮거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및 공통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장애지원 삽화는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첫째, 장애인 삽화가 균형적으로 삽입되어야 하며, 둘째, 다양한 장애유형의 삽화 구성을 위한 지침과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인 삽화뿐 아니라, 장애 관련 삽화가 비중 있게 수록되어야 함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To this end, both basic and common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for the disabled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is very low. Second, among the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illustrations of physical disabilities are heavily included, but other areas of disability are significantly low or absent. Thir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illustrations for disability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are significantly low. I suggest, first, that guidelines and field efforts be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of illustrations covering various disability types, and that second, disability-related illustrations should be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for the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