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용수 203

영문명
A Study on the Student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Resolving the Gap Between Regions and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임유나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5권 제1호, 73~10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 및 학교의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운영상 나타날 수 있는 격차 해소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경험을 지닌 교사들을 중심으로 고교학점제 제도개선 연구회 분과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지역적, 규모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15개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측면의 자료와 정보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편성 측면에서는 학생 선택 단위의 비중, 선택 가능한 과목의 수, 과목 개설의 다양화 등에 있어 농어촌 지역이나 소규모 학교가 도시 지역이나 중・대규모 학교에 비해 상당한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경우 학생 선택 과목의 폭이 넓지 않기 때문에 학급별 시간표로 운영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다과목을 담당하는 교사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또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지리적, 규모적 특성상 지도교사 수급에 제약이 크기 때문에 소인수 과목 개설, 강사 및 순회교사 활용, 공동교육과정 활용 등도 매우 소극적인 상황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회 구성원들의 협의회와 워크숍을 통해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지역 및 학교 간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현장 적합성 있는 방안을 ‘정규 교원 배치 확대 및 농어촌 교사 확충을 위한 제도 개선’, ‘교육청(교육지원청) 단위의 강사 파견 시스템 도입’, ‘단위학교 순회교사제 개선 및 교육청 소속 순회교사제 도입’, ‘농어촌 지역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및 인프라 구축’, ‘농어촌 학교의 지역연계 과목 개설 및 운영 활성화’,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학기제 전환 및 무학년제 활용’의 여섯 가지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organizing and implementing a student elective-centered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suggest ways to resolve gaps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school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mprovement research group was formed centered 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schools, and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spects of a total of 15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rural areas or small schools are more restricted than urban areas or mid- to large-sized school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units and the number of courses that students can select, and the diversification of course offerings. In term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tended to operate according to class timetables because the range of courses for students to choose was not wide. Also, the ratio of teachers in charge of multiple courses is quite high. In addition, due to geographical and scale characteristics,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have limited supply and demand for course teachers, so they are very passive in opening small classes, using instructors and itinerant teachers, and using joint education courses. Finally, a plan to improve the system suitable for the field was derived and presented to help bridge the gap between regions and schools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tudent elective-centered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Ⅲ. 연구 방법
Ⅳ.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Ⅴ. 지역 및 학교 간 격차 해소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유나. (2023).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교육방법연구, 35 (1), 73-104

MLA

임유나.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교육방법연구, 35.1(2023): 7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