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AP 상담 성과 요인의 확인과 EAP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91
- 영문명
- Finding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Outcome Factors and Validation Study of EAP Scale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재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5권 제1호, 4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EAP 상담 서비스를 받은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EAP 상담 서비스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근거 이론 접근 방식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요인들을 측정할 수 있는 상담 성과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근로복지넷 EAP 상담 서비스를 받은 7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상담의 성과 요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녹취하여 근거이론분석 방식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7 명째 자료 분석에서 자료 포화가 나타나 인터뷰는 총 7명까지 진행되었다. 연구1에서 진행한 근거 이론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근로복지넷 EAP 상담의 성과 요인은 자기 이해, 자존감, 정보 제공, 새로운 조망, 역할 과부하, 직무 대인 관계, 관리 능력, 경력 관리, 정서 안정, 감정 정화, 우울증상, 신체화 증상, 가족 관계의 13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2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된 13가지 요인에 대해서 각각 7문항씩의 예비 문항들을 만들고 상담학 전공 교수인 전문가 2인의 자문을 받아 문항을 수정하여 최종 91개의 문항풀을 확정하여 수렴타당도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존의 척도들과 함께 400명의 성인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처음에 상정한 요인 구조대로 문항들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나 수용할만한 수준의 구인타당도를 가진 척도임이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하위 요인을 기존의 유사한 척도들과 상관 분석을 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용할만한 수준의 수렴타당도를 가진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하위요인의 내적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806~.903으로 나타나 수용할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갖는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clients who received EAP counseling service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can measure the outcomes of EAP counseling service by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EAP scale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identified factors. In Study 1,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subjects and analyz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The data saturation appeared in the data analysis of the 7th interviewe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the outcome factors of EAP counseling of work welfare net are self understanding, self - esteem, information provision, new persfective, role overloa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work, management ability, career management, emotional stability, depression symptoms, somatization symptoms, and family relations. In Study 2, preliminary questions of 7 items were made for each 13 factors. After the consultation of two specialists of counseling professors, the items were revised to final 91 question pools and 400 adult workers were surveyed along with the questions and the existing similar scale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tor structure originally assume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sub - factor and the existing similar scal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cale had acceptable level of convergence validity. Finall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ub - factor was verified as .806 ~ .903.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above results are discussed.
목차
서 론
방 법
결과 및 논의
종합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시설거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무력감감소,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FAT 풀어내기
- 여성 내담자의 명상 사례 국내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