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이용수 193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in the traumatic event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relationship of 119 paramedic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임진섭 홍영근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57~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의 빈도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마음 챙김과 소명의식이 외상사건 경험을 겪은 119 구급대원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근무하고 현장경험이 있는 소방공무원 중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소명의식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사건 경험을 겪고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은 구급대원들을 상담할 경우, 마음챙김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결과는 향후 외상사건 경험을 겪은 구급대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119 paramedics' frequent trauma exper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and to verify whether mindfulness and vocation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str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rst, it was found that 119 paramedics' experience in trauma ev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econd, mindful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vent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Third, the sense of vo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o relieve post-traumatic stress through mindfulness when consulting paramedic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events and have high post-traumatic stress.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arouse interest in research on the post-traumatic stress relationship of paramedic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events in the future and promote research on ways to reduce post-traumatic stres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