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비교 분석
이용수 261
- 영문명
- Comparison and Analysis of Assessment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수 남윤석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 및 핵심어 사전 정제 단계, 핵심어 추출 단계, 의미 연결망 분석 및 시각화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어 빈도 추출과 의미 연결망 및 중심성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과 Textom, UCINE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 빈도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에서 ‘학생’, ‘활용’과 같은 공통된 핵심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작품’, ‘다루지 않음’, ‘분수’ 등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대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강점’, ‘일반화 평가’ 등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정되는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sessment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at the stage of collecting data and refining keywords in the dictionary, the stage of extracting keywords, and the stag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semantic networks. The R program, Textom, and UCINET were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y and analyze semantic networks and central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utilization” were common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related to the specific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such as “work” “not covered,” and “fraction”; and final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fit for the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uch as “strength” and “generalization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evaluation plans of the Basic Curriculu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