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의 타당화
이용수 19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Chinese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s Scale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우정정 박은아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0권 제1호, 117~1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iddaway, Wood, O’Carroll & O’Connor가 2019년에 개발한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를 중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중국국적 소지 성인 500명을 온라인 표집 하였고 그 중 중복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487명을 대상으로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는 원래 척도와 마찬가지로 39문항 10요인으로 구성되였으며 신뢰도는 .80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는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 자살시도 신념 척도(SABS)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감내력 척도(PS)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공인 및 변별 타당도를 충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효과적으로 자해를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Chinese version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s Scale(NSIBS) developed by Siddaway, Wood, O'Carroll, and O'Connor(2019). Four hundred and eighty-seven Chinese citizen adults completed NSIBS along with other psychometric measures. The Chinese version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 scale included 39 items within 10 factors as in the original scale. The reliability for the total scale was .80. Evidences for validity were established through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f NISBS with the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 (DERS) and the Suicide Attempt Belief Scale (SABS) as well 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of it with the Tolerance Scale (PS). The Chinese version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belief scale was confirmed to have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s significa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방법
연구 결과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가가 인식한 이마고 관계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 베이비부머의 정서강도와 정서인식명확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비교
- 약물중독 회복 중인 상담자의 약물중독자를 위한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중국판 비자살적 자해 신념 척도의 타당화
- 대인관계 재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 내담자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여성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격특성이 건강행동습관을 매개로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애착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비자살적 자해행동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