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와 광고 관련 뉴스 기사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이용수 147
- 영문명
- Big Data Analysis of Metaverse and Advertising related to News Articles: Focusing on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차영란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6권 제1호, 159~1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와 광고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메타버스와 광고에 관한 자료는 코로나19 이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의 4가지 유형과 광고에 관한 스코어를 분석하였는데, 증강현실(Augmemted Reality)> 가상현실(Virtual World)> 거울세계(Mirror World)> 라이프로깅(Life logging)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메타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증강현실과 광고, 가상현실과 광고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메타버스와 광고에서는 가상인간을 활용한 광고와 아바타를 활용한 광고 등이 활용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가상현실과 광고에서 초기에는 여러 분야의 가상현실에서 광고가 활용됨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타버스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사용자들이 본인들만의 캐릭터를 구축해가는 흐름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증강현실과 광고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주요 IT 기업들이 증강현실 구현을 이루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실생활의 사회활동을 증강현실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에서의 광고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실무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big data focusing on the keywords “metaverse” and “advertising.” Data on the metaverse and advertising appeared in increasingly high numbers only after COVID-19. In addition, the scores for four types of metaverse and advertisements were analyzed, which appeared in the order of augmented reality > virtual world > mirror world > life logging. Therefore, augmented reality and adverting, virtual reality and advertisement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advertising using virtual humans and advertising using avatars were being used in metaverse and advertising. In addition, in virtual reality and advertising, it was found that advertising was used in various fields of virtual reality in the early days, and after the metaverse was activated, the study observed a clear process of users building their own charact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augmented reality and advertising, it was found that major US IT companies are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nd that smartphones play a major role.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a movement to replace social activities in real life with augmented reality. Therefo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anding the area ofadvertising in the metaverse is presen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in practice.
목차
문제제기
선행 연구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