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이용수 175

영문명
Social Network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Way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Communities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저자명
김나영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교육』제61집, 85~12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한 뒤, 지역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거주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설문조사 및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사회적 지지의 양상 등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족스럽지 않은 혼인 생활로 인해 배우자 및 시댁과의 관계를 단절하면서 한부모 이주여성이 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환경으로부터 도피하여 새로운 삶의 공간에 놓이게 되면서, 관계망의 공백을 마주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주여성의 삶의 항상성을 깨뜨리고, 자녀 양육, 심리적 곤란, 경제 및 주거 등의 문제들을 홀로 해결해야 하는 다중적 취약성에 노출시켰다. 하지만 한부모 이주여성은 외적 자원과 내적 자원들을 결합하여 재구성한 관계망을 활용하여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해나가며 주체적 삶을 꾸려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양상 패러다임으로부터, 위축형, 확장형, 전환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세 가지 유형은 중첩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 정주하는 한부모 이주여성은 이주민 집단과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보다는, 한국인 집단과 교량적 유대를 형성하며 전략적으로 다차원적 사회적 관계망을 선택한다. 한부모 이주여성과 지역사회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식적 관계망으로부터 양질의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도록 지원할 것, 둘째, 한부모 이주여성의 체류자격 안정성을 보장할 것, 셋째,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것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한부모 이주여성과 같이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이주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지역사회 관계망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역량 강화 교육 활성화를 통해 전문적 지식 및 기술 증가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교육적 함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After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communities. To this en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Based on the data obtained,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was attempted through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Participants in the study became single-parent migrant women by breaking off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and in-laws due to unsatisfactory marriage. They faced a gap in the network as they fled from their previous environment and were placed in a new space of life. These changes broke the homeostasis of migrant women’s lives and exposed them to multiple vulnerabilities on solving problems such as child rear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economic and housing alone. However, single-parent migrant women were living a subjective life,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by us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atrophy,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types from the paradigm of social network formation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three types appeared overlapp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proposed three suggestions: (1) to support high-quality social support from the official network, (2)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journ statu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3)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curriculum so that it will help social workers to recognize cli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network.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social work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empowermen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Ⅴ.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를 위한 제언
Ⅵ. 사회복지교육적 함의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영. (2023).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 (), 85-120

MLA

김나영.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 (2023): 8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