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시기의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Youth Employment Quality Patterns During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훈 고귀영 유현주 서예린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4권 제4호, 113~1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OVID-19 발생 시기의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를 유형화하고 그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원표본의 경우 각각 19년도, 20년도에 조사된 13차, 14차 조사 자료를, 추가표본은 동일한 기간에 조사된 5,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시기 임금근로자로 재직 중인 청년층의 임금수준 변화, 근로시간 변화, 직장만족도 변화를 기준으로 고용의 질 변화를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유의미하게 구분되었다. 둘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결과 다수의 청년층은 ‘고용의 질 유지’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이 개선된 것은 ‘직장만족도 증대’집단이었으며 고용의 질이 저하된 집단은 ‘임금감소’ 및 ‘근로시간 증대’집단이었다. 셋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의 일자리 특성 요인이 고용의 질 변화에 주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COVID-19 발생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 및 고용 변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제언과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hanges in the quality of youth employment during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m.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Youth Panel Survey (YP)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used. In the case of the original sample, data from the 13th and 14th surveys conducted in years 19 and 20 were used. And for additional samples, the 5th and 6th data surveyed in the same period were used. The analysis method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changes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based on changes in wage level, changes in working hours, and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people working as wage worker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y were significantly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analysis,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 group improved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the ‘wage decrease’ and ‘increase working hours’ groups showed that the employment quality deteriorated.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each type of change in the quality of youth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job-related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in employment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related to the quality and employment change of youth employment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discuss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