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시 G구 학교-지역기관 간 교육복지 네트워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428

영문명
Case study on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in G District of Seoul
발행기관
한국사례관리학회
저자명
배영미 한정은 박여경 김은정
간행물 정보
『사례관리연구』제13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G구의 교육복지 환경과 네트워크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자 학교-지역기관 간 교육복지 네트워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G구 학교-지역기관 간 교육복지 네트워크 특성과 경험은 ‘교육복지사업의 주체 간 협력과 주도적 네트워크 활동’, ‘영구임대아파트단지 중심의 인프라와 교육복지에 대한 낙인’,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교육복지사업’, ‘학교 진입의 장벽과 지역기관에 대한 이해 부족’ 4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우선, G구 내 남부지역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로 편중된 복지자원으로 인해 이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복지 네트워크가 구축, 활성화되어 있고, 학업과 정서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정부의 정책변화와 아동청소년 인구감소로 인해 지역기관의 교육복지 사업축소 및 인력감소로 사업 추진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만, 학교의 필수사업 수행 시, 학교 내 전담인력이나 사업에 대한 학교(교사)의 이해도가 높을 때 학교-지역기관 간 긍정적 협력관계를 경험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G구 내 교육복지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고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내 전담인력 배치, 교육복지통합지원체계 구축, 학교 주도 지역기관과의 연계·협력 강화, G구 내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 complex context that impacts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network with relation to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s within the G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welfare network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in District G were revealed in 4 themes; ‘Between the actor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Collaboration and Initiative Network Activities’, ‘Stigma on education welfare and infrastructure centered on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es’, ‘Education welfare projects being pushed out of priority’, ‘Barriers to school entry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community institutions’. First of all, due to the welfare resources concentrated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es in the southern part of District G, a school uniform welfare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and revitalized around this area, and high demand for services related to education and high-risk groups, in terms of emotion and behavior, were noted in schools in the G District. Next, it wa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changes and decrease in the children and youth population led to a decline in projects and manpower at community institutions. However, a positiv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was experienced when the school’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chool’s dedicated personnel or the project was high when carrying out essential school proj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fulfill the aim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nd promote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within G district: the allocation of dedicated manpower within schools,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welfare support system, promotion of school-led collaboration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and enhancement of awareness regarding educational welfare within G distri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영미,한정은,박여경,김은정. (2022).서울시 G구 학교-지역기관 간 교육복지 네트워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사례관리연구, 13 (3), 1-25

MLA

배영미,한정은,박여경,김은정. "서울시 G구 학교-지역기관 간 교육복지 네트워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사례관리연구, 13.3(2022):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