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문화 속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53

영문명
Self-Narrative Inquiry into competence-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culture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은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7권 제5호, 107~12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수년간 적용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실제로 학교 문화 속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현장의 최전선에 있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한 경험을 통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가 학교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행위를 분석하고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유용하며 연구자가 연구 대상이 되는 셀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학교 문화 속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편성, 실행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적인 초등학교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로 존재하는 교육과정이다. 둘째, 교사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식이 다르다. 셋째, 새로운 교육과정 도입 및 실행에 대한 문화적 공감대 형성이 어렵다. 넷째, 개인적 필요에 의해 선택되는 교육과정 실천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으로 교육과정 실행을 강조하는 교수 문화의 형성, 교사 간의 협력 문화 형성, 교육과정 본질 구현을 위한 실행 지원 및 정책 개발, 교사공동체 지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the actual school culture at the tim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been applied for many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through the experien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t the forefront of the education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that is useful as a way for teachers to analyze behaviors and construct meanings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chool, and the researcher is to be the research object. Using this research method,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implementing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school culture was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appearance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s as follows. First, it is a curriculum that exists as a document. Second, Curriculum is being perceived and implem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teacher. Third, it is difficult to form a cultural consensus on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Fourth, the practice of the curriculum is chosen by individual nee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alizing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to form a teaching culture emphasiz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o form a cooperative culture among teachers, to support implementation and policy developme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essence of the curriculum, and to support for the teacher community were suggested.

목차

Ⅰ. 이야기 들어가기
Ⅱ.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의 현장
Ⅲ.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야기
Ⅳ. 나의 내러티브를 마치며: 다음에 무엇이 올 것인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은. (2022).초등학교 문화 속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7 (5), 107-125

MLA

이지은. "초등학교 문화 속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7.5(2022): 107-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