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찰 건축물과 불의 위계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f enlightenment hierarchic in Buddhist buildings of Korea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저자명
- 김봉건
- 간행물 정보
- 『불교와 사회』제9권, 175~235쪽, 전체 6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10,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지방지정 문화재 112개 사찰건물을 대상으로 사찰의 가람배치와 건축형식 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찰 건물을 불, 보살, 신중의 3단 신앙에 따라 구분하였다. 가람배치에서는 상단 영역에서 주불전과 기타 불전의 배치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병렬, 교축, 중축, 독립의 4개 형태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단의 전각들은 불교적 우주관과 연계된 동심원적 구조와 유사한 배치를 보이고 있다. 건축형식에서는 평면, 지붕, 공포, 창호, 천장, 불단 등을 분석한 결과 전각들이 3단위계에 따라 건물규모, 가구형식, 내외 의장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s and architectural style of 112 buddhist buildings which are designa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r this study, the buddhist buildings are grouped by three stages of buddhist enlightenment (Buddha, Bodhisativa, guardian god). Based on parallel, orthogonal, straight and independent axis, the main buddhist halls are connected to secondary halls. The Buddhist buildings of three stage are arranged on the similar concentric circle based on buddhist concept of universe. The survey of plan, roof style, bracket system, window pattern, ceiling style, Buddhist altar are conducted. Thus it come to a conculsion that the size, architectural style and design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 stages of Buddhist enlightenment.
목차
Ⅰ. 서론
Ⅱ. 가람배치
Ⅲ. 건축형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