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상의 장엄, 불복장의 의미와 특징

이용수 72

영문명
The Sublimity of the Statue of Buddha,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Bulokjang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이선용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9권, 81~11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복장의식은 다른 나라와 차별되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를 보여주는 불교의례이며, 그 근간에는 『조상경』이 있었다. 이에 『조상경』에 내재되어 있는 사상과 의례적 특징을 통해 우리나라 불복장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상경』은 「대장일람경」, 「제불보살복장단의식」, 「묘길상대교왕경」, 「삼실지단석」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불복장으로 안립되는 물목의 종류와 제작 방법, 그 의미뿐만 아니라 의식 등을 담고 있다. 특히 각각의 물목들은 의식을 통해 대관정을 받게 되는데, 이를 통해 단순한 物은 理와 융합되어 그 가치와 의미가 변화된다. 안립물목은 오불에 내재되어 있는 지혜와 싹, 향, 약의 의미 등 모두 오불로 연결되고 있으며, 관정의식을 통해 佛身을 성취하게 된다. 불신을 성취한 물목을 상 안에 넣어 장엄함으로써 종교적 의미가 부여된 ‘佛’로 완성하고 있다. 이는 정계에 사리를 봉안하던 간다라 지방의 성물 봉안, 사실적이면서도 현실적인 형태의 오장육부를 像에 안립하는 중국과 차별된다. 이러한 불복장의식과 『조상경』의 사상은 밀교 경전의 사상과 형식이 불복장에 유입되면서 완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우리나라 불복장의식은 오불의 불신을 갖춘 물목으로 상의 내부를 장엄하고 이를 통해 부처님의 實體에 다가서려 종교적 의례 행위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Bulokjang(佛腹藏) is a Buddhist ritual(佛敎儀禮) that represents the unique culture of Korea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cultures, and Josang gyeong(『造像經』) is at its 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bulokjang through the ideologies and ritual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in Josang gyeong. Josang gyeong is composed mainly of Zhufo pusa fuzang tan yishi(「(諸佛 菩薩腹藏壇儀式」), Miaojixiang dajiaowang jing(「妙吉祥大敎王經」), and San xidi tanshi(「三悉地壇釋」). It contains not only the classification, production method, and definition of the items(物目) that are placed inside the bulokjang, but also the entire ritual(儀禮) process.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and definition of each of item changes according to the ritual. The items, Five Wisdoms(五智) that are inherent to the Five Buddha(五 佛), and the meaning of incense(香) and medicine(藥) are all connected to the Five Buddha, and through the consecration with water(灌頂儀式), they become the body of Buddha(佛身). By placing the items constituting the body of Buddha in the statue(像) and making it sacred, the “Buddhist(佛),” to which a religious meaning is given, is completed. This is different from the enshrinement of the halidom(聖物) in Gandhara, which enshrined the sacred remains of the small crystals in usnīsa(頂髻). Furthermore, it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China, in which realistic and practical representations of the five viscera and six entrails(五臟六腑) are placed inside the statue. These characteristics are believed to be completed, as the ideas and forms of the Buddhist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were introduced in bulokjang and Josang gyeong. Our country’s bulokjang is recognized as a religious ritual act of approaching the truth of Buddha by making the inside of the statue sacred with items that constitute the bodies of the Five Buddhas.

목차

Ⅰ. 머리말
Ⅱ. 『造像經』의 사상과 佛
Ⅲ. 佛의 장엄, 불복장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용. (2017).불상의 장엄, 불복장의 의미와 특징. 불교와 사회, 9 (), 81-118

MLA

이선용. "불상의 장엄, 불복장의 의미와 특징." 불교와 사회, (2017): 8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