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례에서의 불상의 의미

이용수 45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Buddha Image in Buddhist Rituals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최복희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9권, 47~8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례에서 불상이 지니는 의미에 대한 고찰은, 종래의 불상에 대한 도상학적인 연구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우선, 초기대승경전에 나타난 불상의 성격을 고찰하고, 불상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증일아함경』에서는 ‘붓다에 대한 공경과 예불’, 2세기의 『도행반야경』에서는 ‘공양하고 복을 받기 위함’, 3세기의 『대명도경』에서는 ‘예경과 수행하여 복덕을 받기 위함’이 불상의 성격으로 나타났다. 즉, 불상의 성격은 불교교리의 발달 등과 더불어서 함께 발전해 왔으며, 예경을 근본사상으로 하여, 복덕과 수행의 개념이 더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불교의례란 불(불상 또는 사리 등), 법(염불-경문), 승(승려)이 한 공간 내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불교의례에서 행하여지는 시공의 동시적 공유는 단지 현실적인 공유가 아닌, 불보살이 시공을 초월하여 그 자리에 현현함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때문에, 불상의 개념을 신성성이 아닌 초월성이라고 보았으며, 불상을 ‘숭배’가 아닌 ‘예경’의 대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불상은 예경이나 복덕의 대상이 아닌 경우도 많은데, 이 또한 불상의 초월성에서 기인하며, 변이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불교의례 등에서 불상은 부재와 부정, 및 파상의 초월성을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조성소재에서도 초월성을 보인다. 본고에서 불상의 초월성의 변이적 양상에 대하여 충분히 고찰하지 못하였지만, 불상이 예경의 대상이라고 하는 성격만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o practice precept is ethical virtue issue for Buddhist monks and Square Precept Platform is proper rite for conferment of precepts. In early sutras like Dharmagupta-vinaya(四分律), Space for performing ceremony of conferment is divided into exterior construction and interior platform fitting variable situation. Open-air precept platforms in Far Eastern Asia were not very popular. All these platforms follow standard form from the book ‘Illustarated Scripture concerning the ere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in the Guanzhong Region(關中創立戒壇圖經)’ by Daxuan(道宣), Tang dynasty. Domestic examples of exterior construction following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are Tongdosa Temple’s and geumsansa temple’s. Both construction structure are similar but in another contexts.. Tongdosa has ‘Diamond Precept Platform’ name while Geumsansa has simple ‘Square Precept Plat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ernal architectural approach to the constructural viewpoint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Also very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comparing with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has been figured it out .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e importance of the Ordination Platform location in the monastery. Also it has hierarchic spatial characteristic in the monastic life. Combined study between architectur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show this ordination platform has significant name change in different eras.

목차

1. 들어가기
2. 초기 대승경전에 나타난 불상의 개념
3. 불교의례와 불상의 초월성
4.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복희. (2017).불교의례에서의 불상의 의미. 불교와 사회, 9 (), 47-80

MLA

최복희. "불교의례에서의 불상의 의미." 불교와 사회, (2017): 4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