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목탑지 발굴조사 현황과 의미

이용수 40

영문명
Report on Wooden Pagoda sites in Korea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류형균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7권, 209~23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탑은 불교의 상징적 건축물로 당시 토목·건축기술의 집약체라 할 수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조영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도 다수의 목탑이 건립되었다. 목탑은 대부분 터만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현존하는 목탑과 발굴조사를 통해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26개소 정도이다. 삼국시대 목탑지가 조사된 사원의 입지에서 고구려 사원은 모두 평지에 자리하고, 백제·신라의 경우도 평지에 위치한 예가 많다. 고려 사원 목탑지도 산지나 구릉지보다 평지에 자리한 것이 많다. 고구려 사원은 모두 1탑3금당식 배치를 보이는데 비해, 백제 사원은 1탑1금당식이 주류를 이룬다. 통일신라시대 목탑지는 석탑과 마찬가지로 2탑1금당식 배치가 나타난다. 고려 목탑지 배치는 거의 1탑1금당식으로 백제의 영향을 유추할 수 있다. 목탑지의 구성요소 중 평면은 팔각형·방형으로 분류되며, 고구려·신라 목탑지 일부에서 팔각형 평면이 확인되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평면 방형이다. 고려 목탑지의 평면형태는 정방형과 팔각형으로 대별되는데, 정방형 평면은 만복사지·사자사지·실상사·중방리사지·원향사지 목탑지가 해당되고, 흥왕사지 목탑지는 팔각형이다. 목탑지 규모는 3×3칸, 5×5칸, 7×7칸 등 다양한데, 황룡사지· 실상사 목탑지는 7×7칸으로 대형에 속한다. 기단토 구축방법은 나라별 특성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사원별로 다르게 확인되었다. 계단의 설치위치는 4개소·2개소가 많으며, 사자사지·중방리사지처럼 1개소만 마련된 경우도 있다. 고대 목탑지 심초는 지하식도 있으나 지상식의 예가 많고, 고려 목탑지의 심초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영문 초록

Wooden pagoda is a symbolic architecture which shows essence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From Three Kingdoms Period to Koryo Dynasty, many wooden pagodas have been built. Most of them are destroyed and archaeological sites discovered including wooden pagodas in existence are 26 more or less. Most wooden pagodas have been built on flatland. All Koguryo temples were constructed 3 main buildings with 1 wooden pagoda. Baekje temples consist of 1 main building with 1 pagoda compare to Koguryo’. During Unified Silla dynasty, 2 wooden twin pagodas with 1 main building were popular plan in Buddhist temple. This composition is same as in stone pagodas plan. Several wooden pagodas have octagonal base, but majority of pagoda plan was square foundation. Scales of wooden pagodas are varied with 3×3 columns sustainability, 5×5 columns sustainability or 7×7 columns sustainability which is the biggest scale. Stairs were commonly installed in 2 sides or 4 sides, rarely 1 side too. Through this article, these trend was all common in history without any specific features in each country.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목탑지 발굴조사 현황과 특성
Ⅲ. 한국 목탑지 발굴조사 성과와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형균. (2015).한국 목탑지 발굴조사 현황과 의미. 불교와 사회, 7 (), 209-231

MLA

류형균. "한국 목탑지 발굴조사 현황과 의미." 불교와 사회, (2015): 209-2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