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쫑카빠(Tsong kha pa)의 삼매에 대한 소고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cept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n Tsong Kha Pa: Focused on the Lam rim chen mo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차상엽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3권, 211~2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에서는 쫑카빠가 『보리도차제대론』을 통해서 삼매와 적정과 통찰, 적정과 통찰의 통합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여래의 신체를 인식대상으로 삼아서 성취되는 삼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범어 ‘싸마디(samādhi)’가 티벳에서 ‘띵에진(ting nge 'dzin)’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이시카와 미에가 『이권본역어석(sGra sbyor bam po gnyis pa)』의 역주에서 ‘띵에(ting nge)’의 의미가 불명료하다고 언급한 부분에 대하여 필자는 두 가지 조어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중국어 ‘정(定)’이 티벳어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고, 두 번째는 티벳어문법 체계에서 설명 가능한 강조사(Intensivpartikel)의 용법이다. 그리고 쫑카빠가 ‘적정과 통찰의 통합’이라는 개념을 적정과 통찰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을 바탕으로 통찰을 일으켜야만 한다는 의미로 파악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쫑카빠가 『성문지』의 네 가지 인식대상을 설명한 이후에 여래의 신체를 인식대상으로 삼아서 수행하는 방식이 수행자에게 아주 수승하다고 강조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쫑카빠는 여래의 신체를 이용한 도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거나 스승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가르침에 의지해서 수행할 것을 소개하고 있으며, 아울러 평면적인 관상이 아니라 실재로 붓다가 눈앞에 서있는 것처럼 관상할 것을 강조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쫑카빠는 수행자가 눈으로 직접 도상을 보면서 관상하지 말 것을 언급하는데, 왜냐하면 삼매는 감각기관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수행자의 마음속에 일어난 영상에 의해 성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쫑카빠만의 특유한 관상 방식이 아니라 대승불교 초기경전인 『반주삼매경』과 『삼매왕경』의 가르침을 계승한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와 티벳의 역경승 예쎼데의 가르침을 계승한 것이라는 사실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examine how Tsong kha pa (1357~1419), through the text of the Lam rim chen mo, defined meditative concentration (samādhi, sānmèi 三昧), so called calm-abiding and meditative insight (śamatha- vipaśyanā, zhǐguān 止觀), and the unification meditation between calm-abiding and meditative insight (śamatha-vipaśyanā-yuganaddha-vāhin, zhǐguānshuāngyùn 止觀 雙運). In addition, I explore how Tsong kha pa explain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direct encounter with the buddhas of the present (pratyutpanna-buddha-saṃmukhāvasthitasamādhi, pánzhōu sānmèi 般舟三昧),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body of the tathāgata as the object of concentration. In the second chapter, I suggest two possibilities that are derived from the original terms from Chinese. As a response to Mie Ishikawa (石川 美惠)’s mention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ting nge” is obscure in his commentarial translation of the sGra sbyor bam po gnyis pa (二卷本譯語 釋), while the word “samādhi is usually translated into the word ting nge 'dzin.” One point is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term ‘dìng’(定) and the other is the possibility of usage from the Intensivpartikel that can be explained within the Tibetan grammar. In addition, I examine that the concept of unification between calm-abiding and meditative insight that can be achieved for the practitioner to be awakened based on the practice of tranquility. In the chapter three, I introduce that Tsong kha pa emphasizes the practice focused on the body of the tathāgata, which is the most excellent practice for practitioners. The practice was emphasized by Tsong kha pa after he explained the four objects of meditation: the Śrāvaka-bhūmi. In addition, I explain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between Lúshān Huìyuǎn (廬山 慧遠, 334∼417) and Tsong kha pa on the samādhi in which the Buddhas of the ten directions are seen as clearly as the stars at night. For achieving the Samādhi, in which the Buddhas of the ten directions are seen as clearly as the stars at night, Tsong kha pa introduced that the practitioner has to progressively utilize the picture or the practitioner should rely on the teaching of the master. Moreover, he emphasized the vivid visualization of the Buddha, as if the Buddha appears in front of the practitioner’s eyes, beyond a platitudinous visualization. In addition, he mentioned that the practitioner cannot meditate by directly seeing pictures of the Buddha. For instance,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can be only achieved through, not by sense organs, but by the images appearing in the mind of the practitioner. This type of doctrine is not a peculiar meditative method for Tsong kha pa, but is the heritage from the teaching of Ye shes sde, a translator monk in Tibetan Buddhism and Kamalaśīla (ca. 740∼795 A. D.)’s the Bhāvanākrama succeeded the Pratyutpanna-buddhasaṃmukhāvasthita- samādhi-sūtra (Bānzhōusānmèijīng 般舟三昧經) and the Samādhi-rāja-sūtra (Sānmèiwángjīng 三昧王經) in the early scriptures of the Mahāyāna tradition.

목차

1. 서론
2.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삼매, 그리고 적정과 통찰
3.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삼매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상엽. (2011).쫑카빠(Tsong kha pa)의 삼매에 대한 소고. 불교와 사회, 3 (), 211-232

MLA

차상엽. "쫑카빠(Tsong kha pa)의 삼매에 대한 소고." 불교와 사회, (2011): 211-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