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

이용수 16

영문명
Samādhi and Enlightenment in the Avataṃsaka Sūtra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진영유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3권, 73~10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주제는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이다. 화엄에 있어서 삼매와 깨달음의 관계를 논하기 위하여 먼저 각 삼매를 살폈고, 이어서 화엄교학에서의 성불론과 경전에서의 깨달음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삼매는 적멸도량회의 일체제불비로자나여래장신삼매를 시작으로 각 회의 근본 삼매와 각 품에서의 부수적인 삼매를 모두 검토했다. 화엄의 십불의 자경계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보현행원의 수행력을 완성해야 하는데 삼매의 경지는 행원을 성취시키는 근본 토대가 됨을 보았다. 그 이유는 여래의 본원력과 위신력에 의해서 삼매에 들어가고, 보살은 삼매를 통하여 여래와 교감을 갖는다. 삼매력 속에 보살과 여래가 동일한 경지에 있게 되고, 불가사의한 세계가 전개되며 보살은 마정수기를 얻고 여래를 대신해서 법을 설하는 능력을 얻는다. 곧 삼매 속에서 여래의 경지를 경험하고 佛果를 향하여 나아가는 확고한 믿음을 성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매를 경험한 다음에는 다시 현상으로 돌아와서 여래와 같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 그 실천의 과정이 항포문, 또는 원융문으로 전개되는 것이 화엄의 깨달음의 과정이다. 이에 信滿成佛을 시작으로 一念成佛, 疾得成佛, 舊來成佛, 本來成佛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성불론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화엄경』에서 여래의 위신력과 가피력, 확고한 신심의 중요성, 신구의 3업을 맑힘, 수행자의 해행구족 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화엄의 온전한 깨달음은 바로 법계연기를 정확히 깨닫는 것임을 밝혔다. 법계연기의 깨달음은 눈앞에 펼쳐지는 현상을 그대로 차별 없이 진리로서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위 그대로를 진리로서 완성해 가는 보살도를 의미한다. 이 법계연기의 깨달음은 시작도 끝도 없으며 너와 나의 경지로 나누어지는 것도 아니다. 서로 일체를 공유하면서 함께 진리를 구현하고 구체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모두가 여래의 경지에 들어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선재동자가 보현의 몸속에 있음을 발견하고 보현과 동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heme of this paper is samādhi and enlightenment in the Avataṃsaka Sūtra. First of all, I examined each samādhi to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enlightenment in the Huayan school. In addition, I also looked into the doctrine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theory of the Huayan school and the matter of enlightenment in the Buddhist scriptures. As for samādhi, I studied both the foundational samādhi in each assembly (hoe 會) and the supplemental samādhi in each chapter, starting from the samādhi of all Buddha, Variocana and, Tatagatha in the assembly place where a Buddha attains the truth of nirvāṇa (寂滅道場會). I revealed that the vow and practice of Samantabhadra must be completed to reach self-awakening in Ten Buddha of the Huayan school. The state of samādhi is the foundation for fulfilling the vow and practice. That is because the state of samādhi can be achieved with the dignity and insights of Buddha and a Bodhisattva can be in communion with Buddha through samādhi. In other words, under the state of samādhi, a Bodhisattva can experience the spiritual realm of the Buddha and establish a firm belief toward the Buddhist world. Once experiencing such a state of samādhi, a Bodhisattva needs to get back to the real world and practice for the awakening lik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The process of practice means the awakening process in the Hayan theory, such as the perfect intercommunion gate. With regard to this, I examined the theories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Huayan school, starting from Shin-man-seong-bul (信滿成佛) and followed by Il-nyeom-seong-bul (一念成佛), Jil-deuk-seong-bul (疾得成佛), and to Gu-rae-seong-bul (舊來成佛). In addition, through these theories of becoming the Buddha, I point out the importance that the practitioner needs to be satisfied with Tatagatha’s vow and practice in the Avataṃsaka Sūtra, firm belief, the illumination of three karmas of body, and harmonization of wisdom and practice for awakening. Consequently, the perfect awakening in the Huayan school is nothing but Dharmadhatu Pratityasamutpada. The awakening through Dharmadhatu Pratityasamutpada means that the practitioner can accept all phenomena as suchness without discrimination, which is the bodhisattva’s path for the practitioner to act on his own way. The awakening of Dharmadhatu Pratityasamutpada is neither staring nor ending, nor distinction between you and me. It is the process of realization that everyone can share everything and pursue the truth and finally be awakened to the fact that everyone is in the spiritual stages of the Tatagatha. As a result, every practitioner can realize that Sudhana (善財) is within the body of Samantabhadra (普賢) and accompanies Samantabhadra.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화엄경』과 삼매
Ⅲ. 『화엄경』과 깨달음
Ⅳ. 끝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영유. (2011).『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 불교와 사회, 3 (), 73-105

MLA

진영유. "『화엄경』에서의 삼매와 깨달음." 불교와 사회, (2011): 7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