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 RVT)의 반응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이용수 54
- 영문명
-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은석 김갑숙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8권 제3호, 157~18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 RVT)이 학교 상담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RVT를 통해 자신의 상태와 처한 환경에 대해 무엇을 인식하고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7명, 여학생 19명이다. 자료는 2021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RVT검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Elo와 Kyngäs(2008)의 귀납적 접근방식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사한 자료를 읽으며 그들이 진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미단위를 정리하고, 반복되는 자료들을 묶어 의미구조(structure of meaning)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그림 검사와의 첫 만남>, <친구들아 우리 함께 가자.>, <가족의 상처가 드러나다.>, <나의 중간대상을 찾다.>, <나의 또 다른 모습을 찾다.>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RVT를 통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정, 학교 그리고 개인의 심리적 환경을 알 수 있었다. RVT를 통한 심층적 면담은 자신이 처한 문제를 드러내는데 저항을 줄이고 자신의 과거경험과 현재의 인식 그리고 미래에 대한 가치를 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RVT의 타당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rose bush visualization technique (RVT) is available in the school counseling field. We tried to find out wha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and talk about their condition and environment through RV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 boys and 19 girls in the 1st grade of specialized high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VT tests and interviews from September 2021 to November 2021. For data analys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inductive approach of Elo and Kyng̈s(2008). While reading the transcribed data, various semantic units were organized around the contents of their statements, and the semantic structure was identified by grouping repeated data. As a result, five essential topics and 14 sub-topics were derived. The essential theme is , , , , appeared as. As described above, RVT showed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ies, schools, and individuals perceived by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Using these research results as basic research,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validity of RV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록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 RVT)의 반응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센터 종사자들의 음악치료 관련 인식도 조사
-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조현병 환자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성적 외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아동기 학대 경험으로 심리적 외상을 보이는 성인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 완화를 위한 에포트 모듈레이션(Effort Modulation)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