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 완화를 위한 에포트 모듈레이션(Effort Modulation)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이용수 79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Effort Modulation-based Dance Motion Therapy Program to Mitigate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Caregivers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인희 박성현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8권 제3호, 79~1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신체통찰력, 감성지능, 창조적연결성 향상과 직무 스트레스, 직무 소진 완화를 위한 에포트 모듈레이션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및 내용은 박인우(1995)의 6단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신체통찰력, 감성지능, 창조적 연결성을 구성요소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주 2회 2시간씩 4주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에포트 모듈레이션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대기자집단이었다. 두 집단 간 종속변수들의 변화량 측정을 위해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고, 이후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를 실시하여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으며, 사전 동질성이 검증되지 않은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통찰력, 창조적 연결성, 감성지능 점수가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직무소진은 점수의 변화는 있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에포트 모듈레이션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신체통찰력, 창조적연결성, 감성지능의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Effort Modulation-base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o improve Body Insight,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e Connectivity,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caregivers.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the program were applied by Park In-Woo(1995)’s six stage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the component were Body Insight,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e Connectiv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 pre-post-follow up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ducted on caregivers,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4 weeks. To measu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pre-homogeneity test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and then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period, and covariant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at did not verify pre-homogeneity. As a result of the study, Body Insigh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Connectivity,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Job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록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 RVT)의 반응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센터 종사자들의 음악치료 관련 인식도 조사
-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조현병 환자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성적 외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아동기 학대 경험으로 심리적 외상을 보이는 성인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 완화를 위한 에포트 모듈레이션(Effort Modulation)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