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적 외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17
- 영문명
- Analysis on the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Related to Sexual Trauma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윤미 이수인 전수경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8권 제3호,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적 외상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1996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에서 게재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KCI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 40편을 발행유형 및 시기, 연구대상(연령, 성별, 역할 유형), 연구방법(연구유형, 측정도구), 연구내용(중재환경, 미술매체 및 기법, 프로그램 구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유형 및 시기별 동향은 KCI등재・등재후보 학술지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5~2009년에 가장 많은 발행수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성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와 노인 대상의 연구는 전무하였다. 또한, 여성 및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개인 대상의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측정도구는 정서 및 자아・자기 관련 질문지 검사도구와 심리평가를 위한 투사적 그림검사가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의 중재환경은 회기당 60분~89분, 주 1회, 총 11~15회기로 이루어진 개인치료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미술매체와 기법은 각각 평면 차원의 건식 매체와 ‘나에 대해 그리기’, ‘성적 외상 사건에 대해 그리기’ 등의 과제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자아성장을 효과성 요인으로 구성한 경우가 많았으며, 초・중・후기 단계별 목표는 각각 치료관계 형성, 자기탐색 및 수용, 긍정적 자기인식과 긍정적 미래계획을 목표로 구성된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적 외상 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sexual trauma art therapy by analyzing 40 journal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and KCI-registered journals and candidates for it between 1996 and 2021 in terms of the publication type and time, study subjects (age, sex, & role types), study methods (research type, measuring tools), and study contents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art media and techniques, & program organ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publication types and trends by period, KCI-registered/candidate journals accounted for the majority, with the largest number of publications from 2005 to 2009. Second, concerning the trends of study subjects, most of them deal with adults whereas none targets children or the aged. Also, they tend to focus on women or victims. Third, regarding the trends of study methods, case studies targeting individuals are found the most, and about measuring tools, the examination tools of questionnaires dealing with emotion or ego and projective drawing tests for psychological assessment are often adopted. Fourth, concerning the trends of study contents, as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individual treatment lasting for 60 to 89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with total 11 to 15 sessions is found the most. Regarding art media and techniques, two-dimensional dry media and task activities such as ‘drawing a picture about me’ and ‘drawing a picture about the incident of sexual trauma’ are most frequently adopted respectively. Most of the programs take personal growth as a factor of effectiveness, and about goals in the initial, medium, and last step,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relationship, exploration and acceptance of ego, and positive recognition of ego and positive plans for the future are often used as the goals resp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록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 RVT)의 반응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센터 종사자들의 음악치료 관련 인식도 조사
-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조현병 환자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성적 외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아동기 학대 경험으로 심리적 외상을 보이는 성인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 완화를 위한 에포트 모듈레이션(Effort Modulation) 기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