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이용수 98

영문명
The Grounded Theory for the Process of Teachers Building Disaster Resilience in the COVID-19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연(Suyeon Lee) 박경애(Kyungae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9권 제3호, 353~38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을 실천한 경험을 분석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축하는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0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수도권 초등학교 부장교사 15명과 1대 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개방코딩과 축코딩, 선택코딩을 수행하여 도출된 24개의 범주로 패러다임 모형 구성과 과정분석, 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러다임 모형에서는 중심현상 발현 후 중재적 조건과 대처 전략에 따라 재난 레질리언스가 강화되거나 교육공동체가 파편화되는 이분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은 공동체간의 상호작용과 내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아 ‘미증유의 혼란기, 대처기, 갈등기, 대승적 통합기, 안정기반 구축기’의 5단계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학교공동체의 상호작용에 따라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축한 학교도 있고, 갈등기에 머문 학교도 있었다. 코로나19 재난에 대처하는 교사의 유형은 ‘소진형, 자기주도극복형, 내적자원강화형, 연대협력형, 실존각성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는 ‘미증유의 혼돈을 교사의 소명의식과 공동체 협력으로 극복하고 재난에 강한 학교로 성장해가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재난은 교사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 성장에는 공동체성의 부활과 사회적 자본의 결집이 중요하다’는 가설적 명제를 제시하고, 학교에서 재난 레질리언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의 사회적 자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ing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explore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and building a disaster resilience. For the study, from October 2020 to March 2021, in-depth interviews with 1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paradigm model composition, process analysis, and type analysis were conducted into 24 categories derived by perform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 theory metho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aradigm model, a dichotomy result was derived in which disaster resilience was strengthened or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fragmented according to the mediating conditions and coping strategies after the emergence of the central phenomenon. The process of building a disaster resilience was completed through five stages of unprecedented confusion, coping, conflict, grand integration, and stability foundation building due to interaction between communities, and some schools stayed during conflict. The types of teachers responding to the COVID-19 disaster were burnout type, self-trust overturn type, human capital reinforcement type, solidarity cooperation type, and existential awakening type. Finally, the core category was composed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unprecedented chaos through teacher's sense of calling and community cooperation and growing into a disaster-resistan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hypothetical proposition was proposed that ‘disaster can lead to growth, and the revival of community and the gathering of social capital are important for this growth’, and in conclusion, teachers' social capital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disaster resilience in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연(Suyeon Lee),박경애(Kyungae Park). (2022).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한국교원교육연구, 39 (3), 353-382

MLA

이수연(Suyeon Lee),박경애(Kyungae Park).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재난 레질리언스 구축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한국교원교육연구, 39.3(2022): 353-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