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진바라밀의 교육학적 함의
이용수 89
- 영문명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ῑrya-pāramitā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치형(Chi-Hyung Lee)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3호, 63~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267/267801.jpg)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교육은 ‘교과’(총체)를 가르치는 바로 그 일을 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소위 ‘공부’(工夫)라고 하는 지난하고 길고 긴 ‘노력’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점과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내’ 또는 ‘근면과 성실’이 바로 그 원리가 된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교육(교육의 과정)은 곧 불교수행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불교수행에서 중요시된 ‘정진과 정진바라밀’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대의 교육이론(원리)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인내와 반복, 그리고 (돈오)점수’를 강조하는 글들을 바탕으로 하여 ‘정진과 정진바라밀’의 ‘구분과 관련’을 밀도 있게 점검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 도출된 결론은 정진바라밀은 정진이라고 하는 노력과 인내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며, 그렇다고 하여 또한 정진 그 자체가 정진바라밀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따라서 정진바라밀은 정진을 ‘기반’으로 하되, 반드시 ‘도약’이라고 하는 ‘질적 전환의 과정’이 요구되며, 이는 결정적으로 교육의 원리―질적 전환으로서의 도약―로서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점 또한 밝혀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질적 도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역시나 ‘노력과 인내’ 또는 ‘근면과 성실’로 대변되는 ‘정진’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 잊혀서는 안 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at education is the very job of teaching the subject(wholeness), which requires a long and long ‘effort’ called ‘study’(工夫) and that ‘patience’ or ‘diligence and sincerity’ to support it are the very principles. In order to clarify that,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n answer to it by analyzing the concept of ‘vῑrya(精進) and vῑrya-pāramitā(精進波羅蜜)’, which were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 focusing on the fact that education(the process of education) is similar to Buddhist practice. To this end, in the process of reviewing studies on modern educational theory(principle), based on articles that emphasize ‘patience, repetition, and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he ‘differentiation-related’ of ‘vῑrya and vῑrya-pāramitā’ was carefully examined. Therefore,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article was that vῑrya-pāramitā cannot be achieved without efforts and patience called vῑrya, and that also means that vῑrya itself is not vῑrya-pāramitā. Therefore, it was also revealed that vῑrya-pāramitā is based on vῑrya, but a ‘process of qualitative transformation’ called ‘leap’ is required, which should be crucially important as the principle of education-leap as qualitative transformation. Nevertheless, in order for such a ‘qualitative leap’ to take plac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it is impossible without ‘efforts and perseverance’ or ‘diligence and sincerity’.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의 핵심활동
Ⅲ. 정진과 정진바라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