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20~1627년 조선의 遼民 인식과 송환론

이용수 46

영문명
The Perception of Liaodong Refugees and the Doctrine of Repatriation in Choseon Dynasty from 1620 to 1627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우경섭(Woo, Kyungsup)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4집, 235~26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19년 사르후 전투 이후 본격화된 후금의 서진으로 말미암아, 요하 유역 漢人들이 대거 압록강을 넘어 조선 영토로 피난하면서 요민 문제가 시작되었다. 1621년 후금의 瀋陽·遼陽 점령 및 1622년 毛文龍의 東江鎭 설치로 급격히 증가한 요민의 숫자는 순식간에 2만을 넘어 1623년 인조반정 무렵 10만, 1627년 정묘호란 직전에는 20~30만 명을 헤아리게 되었다. 기록에 나타난 이 숫자를 그대로 믿기란 쉽지 않지만, 적어도 10만 명에 가까운 한인들이 평안도로 유입된 정황은 대략 확신할 수 있을 듯하다. 조선 조정은 요민들이 후금과 내통하거나 후금의 월경 침입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평안도 백성들에 대한 침학 및 굶주림으로 인한 소요를 우려하며, 유입 초기부터 이들을 산동성 登州로 송환하는 방침을 정하고 명 조정과 협의를 이어나갔다. 그리고 명 조정 역시 자국민인 요민을 데려오는 것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여, 감군 梁之垣과 조사 姜曰光의 파견 때 송환을 성사시킬 기회가 두 차례 있었다. 그러나 요민을 기반으로 자신의 세력을 구축·유지하려던 모문룡의 방해, 그리고 동강진의 전략적 가치를 중시하고 요민 귀환으로 인한 혼란을 우려했던 명 조정의 복잡한 계산 속에서, 정묘호란 이전 요민의 송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문 초록

After the Battle of Sarhu in 1619, as the Manchus advanced westward, many Chinese living near Liaohe fled over the Yalu River to Choseon territory, and the issue of Liaodong Refugees began. The number of Liaodong Refugees, which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occupation of Shenyang and Liaoyang in 1621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jiangzhen by Mao Wen-long in 1622, quickly exceeded 20,000. 100,000 by the time of King Injo’s Rebellion in 1623, and 200,000 to 300,000 just before the 1st Invasion of Manchuria in 1627. It is not easy to believe this number as it is on the record, but it is roughly certain that at least nearly 100,000 Chinese have flowed into Pyongan Province. The Choseon Dynasty was concerned that Liaodong Refugees could communicate with the the Manchus or cause invasion of the Manchuria, and they would plunder the local people. Therefore, from the beginning of the influx of Liaodong Refugees, Choseon Dynasty decided to repatriate them to Dengzhou, Shandong Province of Ming, and continued consultations with Ming Dynasty, In addition, the Ming Dynasty also agreed in principle to repatriate Liaodong Refugees, its own citizens, and there were two opportunities to complete repatriation when Yang Zhi-yuan and Jiang yue-guang were dispatched. However, in the complicated calculation of the Ming Dynasty, which valued the strategic value of Dongjiangzhen, and the obstruction of Mao Wenlong, who tried to build and maintain his power based on Liaodong Refugees, little repatriation of Liaodong Refugees was accomplished.

목차

Ⅰ. 머리말
Ⅱ. 광해군 말 요민 유입과 송환론의 제기
Ⅲ. 인조반정 직후 요민의 작폐와 정묘호란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경섭(Woo, Kyungsup). (2022).1620~1627년 조선의 遼民 인식과 송환론. 동국사학, (), 235-268

MLA

우경섭(Woo, Kyungsup). "1620~1627년 조선의 遼民 인식과 송환론." 동국사학, (2022): 235-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