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주민의 정체성 영향 요소 분석

이용수 73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identity in Korean textbooks for immigrants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박지순(Park, Ji-Soon)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70집, 127~15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이주민의 성공적인 한국어 습득을 위해 긍정적인 정체성 형성이 핵심적이라고 보고 한국어 교재의 내용이 이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재에서 등장인물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대화에서의 주도권을 누가 갖는지, 한국어 학습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이주민의 직업적 다양성은 어떠한지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통>의 경우 외국인끼리의 대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결혼>과 <고용>은 대화 참여자의 관계가 매우 한정적으로 나타났고, 수직적 관계에서 모어 화자가 상위자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강한 FTA의 화행을 누가 주로 수행하는가로 판단할 때 대화의 주도권은 한국인에게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한국인은 명령하기, 허락하기, 금지하기, 조언하기 등의 적극적인 화행을 외국인보다 많이 수행하고 있었으며 외국인은 상대적으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화행을 수행하였다. 셋째, 한국어 학습에 대한 태도는 한국어를 잘 못하는 것을 부끄러운 일로 여기거나 한국어 능력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학습자 개인에게 있으며, 한국어를 잘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만능주의적인 한국어 학습 동기가 발견되었다. 또한, 한국어 능력 향상의 척도는 높은 한국어 시험 점수, 한국어 시험 합격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넷째, 이주민의 직업적 다양성이 실현된 교재도 있었지만, 이주민 안에서 다시 직업적 계층화가 이루어지고 여성 결혼이민자에게는 가정주부로서의 고정된 역할과 정체성이 부여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affect the composition of migrants' identity. To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migrant characters hav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in textbooks, who has power in conversation, what is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Korean, and what how diverse the occupations of migr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 conversations between foreigners took up the highest proportion, and in and ,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al partners was very limited. Second, based on who mainly conducts dialogues in strong FTAs, the initiative in dialogue was often held by Koreans. Third, there were textbooks in which migrants had various occupations, but there was a hierarchy within the migrants, or the fixed role and identity of housewives were given to marriage migrants. Fourth, as to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Korean, the view that not being good at Korean is a shameful thing, the view that the reason for the lack of Korean proficiency lies in the individual learner, the view of assimilationism, and the impractical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were found.

목차

1. 머리말
2. 정체성 형성 과정으로서의 언어 습득
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순(Park, Ji-Soon). (2022).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주민의 정체성 영향 요소 분석. 우리말연구, (), 127-159

MLA

박지순(Park, Ji-Soon).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주민의 정체성 영향 요소 분석." 우리말연구, (2022): 127-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