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이용수 209

영문명
The Longitudinal Effects of Below-Bas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on Vocational Maturity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최인희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4호, 203~2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중학교 이후의 진로성숙도(자기이해, 진로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탐색하였다.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고,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각 조사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변수와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 여부에 따른 집단을 나타내는 변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부모(가정), 학생, 학교 영역의 배경 및 과정 변수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원점수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기초미달로 분류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더 낮았으나, 영향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는 자기이해, 진로계획성에서 기초미달 집단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태도에서는 독립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기초미달에 속한 학생들의 평균이 모든 조사시점에서 더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으로 포함된 변수들 간의 복잡한 관련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진로성숙도 관련 연구와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below-bas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on vocational maturity using 1st through 7th year data of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current study employed the latent growth model to investigate changes in vocational maturity and used time variables indicating measurement occasion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 variable indicating whether the student was classified into the below-basic achievement level whil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family-, student-,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w scores for vocational maturity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and attitude toward work) in the below-basic achievement students (the foc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were never classified into the below-basic achievement level (the reference group) across five occasions.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the scores in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lanning of the foc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group. Still, in attitude toward work, the scores of the foc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group. These results imply complicated relations among vocational maturity, academic achievement, and othe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vocational maturity and care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인희. (2022).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교육학연구, 60 (4), 203-233

MLA

최인희.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교육학연구, 60.4(2022): 203-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