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

영문명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social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조미정(Cho Mee Jung)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6권 제3호, 51~6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 5, 6 학년 6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최태산, 최명선과 조미정(2008)의 아동용 놀이성 측정도구와 박금옥(1998)이 개발한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 질문지를 초등학생에 맞도록 재구성한 한미현(2005)의 사회적 유능성 척도와 허정경(2003)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아동 놀이성 하위변인인 기발성, 사회적 놀이성, 정서적 놀이성이 풍부할수록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에 속하는 사교성, 대인적응성, 인기도가 높아지고, 사회적 놀이성이 풍부할수록 사교성과 인기도가 높아지며, 사회적·정서적 놀이성이 높을수록 사회참여도가 높아졌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정서적 놀이성이 높고 재미탐닉을 많이 할수록 주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 전반에 걸쳐 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사회적 놀이성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적 유능성 각각의 하위 차원은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 하위변인들로부터 각기 다른 영향을 받으므로 아동심리치료 현장에서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을 위한 치료적 전략으로 서로 다른 영역의 놀이성과 자기조절 능력 향상을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obtained from the 682 people including 4,5,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iving in Gwangju, South Korea to find out how the playfulness of children explains the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or rating scale, we used Children’s Playfulness Scale(Choi, Cho, & Choi, 2008), Social Capability Scale(Han, 2005) reconstituted from Adolescent Social Competence Scale (Park, 1998) and Child Self-Regulation Scale(Huh, 2003). As a result, first, the main outcomes of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to social competence are that the sub-variables(sociability,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opularity) of social competence are high if the sub-variables(extraordinariness, social playfulness and emotional playfulness) of children's playfulness are abundant; the sociability and popularity are high when social playfulness is abundant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is high when social-emotional playfulness is high. also, If the children's social-emotional playfulness and pursuit of fun are high, leadership is high. Second, If the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is high, overall factors of social competence are high. Third, the most effective factors about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re social playfulness and the motivational self-regul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each sub-level of social competence has different influences to playfulness and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So, in the fields of children's psychotherapy, the promotion of playfulness of different domains and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are necessary to solve the social competence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정(Cho Mee Jung) . (2012).초등학생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6 (3), 51-67

MLA

조미정(Cho Mee Jung) . "초등학생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6.3(2012): 5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