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영문명
The effect of parent empathy on younge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the mediating role of younger children's self-esteem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박은정(park, eun Jung) 김종범(Kim, Jong Bum)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6권 제3호, 33~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두 변인의 관계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만 4, 5세 유아 267명과 그들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하였으며, 부모공감,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의 매개모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의 공감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부공감의 경우 모공감보다 정서조절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공감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으며. 모의 공감은 부공감에 비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일정부분 설명됨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모공감과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에서 약 2%의 설명력을 가지고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의 인지적 공감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모 인지적 공감의 하위영역인 상상하기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e empathy of parents influences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how the two variables mediated self-esteem.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267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 aged 4 and 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as analysed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variabl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 was calcul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y,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about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the identifying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empathy of parents influences a child’s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it was further discover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other’s empathy and father’s empathy.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a father’s empathy towards the child’s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was deficient. In comparison to the father’s empathy, the empathy by mothers displayed a superior level of attention. Thirdly, it was revealed that a fixed part of self-esteem can be explain by the ability to control one’s emotions. Fourthly, it was discovered that in the self-esteem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empathy and the ability to control one’s emotions can be explained by roughly 2%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also appeared, regarding the mother’s cognitive empathy the influence of the fully mediation effect was seen. It was confirmed that a mother’s cognitive empathy in the sub factors imagin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정(park, eun Jung),김종범(Kim, Jong Bum) . (2012).부모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6 (3), 33-49

MLA

박은정(park, eun Jung),김종범(Kim, Jong Bum) . "부모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6.3(2012): 3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