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ingdon의 다중 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환경교육 활성화 의제설정과정 분석

이용수 542

영문명
Analysis on Policy Agenda-setting for the Activat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Kingdon s Multiple Streams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박수연(Park, Su Yeon)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9권 제1호, 99~1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당면한 기후위기의 상황에서 핵심 어젠다로 떠오른 ‘학교환경교육’이 정책의제로 설정된 과정을 분석하고 그 과정상의 특징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ngdon의 다중 흐름 모형(Multiple Streams Model)을 분석모델로 삼아 정책형성에 영향을 준 사건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정책문서와 언론보도, 관련 웹사이트 검색 등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의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미래세대의 생존권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이에 대한 교육청의 응답이 문제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둘째, 정부여당의 국정과제 및 최근 코로나19 전염병 확산으로 인한 정부 정책 변화, 이에 따른 학교환경교육에 대한 행정부의 입장 변화 등이 정치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셋째, 학교환경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인 환경교육진흥법에 대한 수차례의 일부 혹은 전부개정안 제안, 정책 선도가의 대정부 제안 등이 정책대안의 흐름을 구성하였다. 본 정책은 학교교육 당사자인 청소년들의 요구에 교육청과 교육부 등 관계부처가 응답하는 상향식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향후 교육현장의 크고 작은 문제 해결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r analyzing the dynamics in the process of agenda-setting for Activat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based on Kingdon s multiple stream model. According to Kingdon s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problem stream were the discovered changes in awareness of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increasing demands of future generations for their right to survive and the respons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for the youth s voice. The politics stream is constitute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olicy of the ruling party, announcing the comprehensive governmental plan of green new deal, and planning for the future school with green and smart. In the policy stream, there are several proposals for partial or all amendments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a law on revitaliz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clusion, a policy window is open at the climate emergency declaration by the countrywide superintendents. The key policy entrepreneurs are Youth for Climate Action and Gyeongsangnam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agenda setting process is meaningful since it was made through a bottom-up process in which the relevant governmental bodies respond to the need of the youth education parties concern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연(Park, Su Yeon). (2022).Kingdon의 다중 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환경교육 활성화 의제설정과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9 (1), 99-122

MLA

박수연(Park, Su Yeon). "Kingdon의 다중 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환경교육 활성화 의제설정과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9.1(2022): 9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